문화계와 재계, 정치권까지. 지금 대한민국은 하나가 됐습니다.
오늘의 키워드# '부산 그리고 엑스포'입니다.
전 세계 산업기술 및 과학기술의 발전과 성과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어 경제·문화 올림픽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엑스포.
전구, 자동차, TV, 전화기에 이르기까지 인류 문명의 발전을 주도한 제품들이 모두 엑스포에서 공개됐을 정도로 그 파급력은
대한상공회의소는 내달 3~4일 양일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2023 탄소중립과 에너지정책 국제세미나’를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지난해 4차례 해당 세미나를 개최한 대한상의는 올해부터 국제세미나로 행사를 확장했다. 탄소중립과 기후환경 분야의 전문가, 글로벌 선도 기업을 초청해 탄소중립 실천 사례를 듣고 글로벌 연대를 통한 탄소중립
재계가 2030년 부산국제박람회(엑스포) 유치를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비롯한 총수는 물론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전자 등 주요 대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직접 나서 힘을 보태고 있다.
부산엑스포 개최 여부는 내년 11월 국제박람회기구(BIE) 170개 회원국의 비밀투표 결과에 달렸다. 현재 2030 엑스포 유치경쟁은
삼성전자가 ‘2030 부산국제박람회(엑스포)’ 유치 지원을 위해 계열사의 글로벌 역량을 총동원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 계열사 경영진들은 5~6일 이틀간 부산에서 열리는 ‘2022 한국-중남미 미래 협력 포럼’을 계기로 방한하는 멕시코, 코스타리카, 도미니카공화국,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콜롬비아 등의 정부 관계자들을 잇달아 만나 현
부산상공회의소는 지난 14일부터 16일까지 벡스코에서 프래나이즈 창업 부산 국제박람회를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박람회는 올해 11회째로 남부권 최대규모의 창업박람회다.
특히 국내기업 외에도 중국, 일본 3개국의 창업아이템이 박람회에 참가하여 예비창업자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박람회는 나뚜루, 토마토도시락, 꼬지사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