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중2 치르는 2028 수능부터 미적분Ⅱ·기하 빠져고교 내신은 5등급 상대·절대평가로...사회·과학 교과는 절대평가만
현 중학교 2학년이 치르는 2028학년도 대입부터 선택과목 없는 통합형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실시된다. 특히, 수능에서 미적분Ⅱ·기하 등 ‘심화수학’은 제외하고, 고교 내신은 5등급 상대·절대평가를 병기하되 융합선택 과목 중 사회·과학
“대학, ‘심화수학’ 없어도 학생부 통해 학생 역량 확인 가능”사회·과학 융합선택 9개 과목은 ‘절대평가’만
현 중학교 2학년이 치르는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부터 선택과목 없는 통합형 수능이 실시된다. 특히, 수능에서 미적분Ⅱ·기하 등 ‘심화수학’은 제외하고, 고교 내신은 5등급 상대·절대평가를 병기하되 융합선택 과목 중 사회·과학 교과
교육부 자체 설문조사… 심화수학 도입 응답자 과반수 부정적진학 교사들 “심화수학 신설 안돼…내신 절대평가 확대해야”
학부모 10명 중 7명은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내용의 교육부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다만, 학부모의 과반은 심화수학 신설안에 부정적인 목소리를 냈다.
교육부는 지난 20~22일 자체 학부모
정부가 발표한 2028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개편 시안에서 '미적분Ⅱ'과 '기하' 과목이 수학 영역 출제범위에서 제외되자 수학계가 이공계 대학 교육 등 첨단기술 기반이 붕괴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대한수학회는 16일 성명을 통해 “대입개편안은 문과계열을 지원하는 학생들만 고려한 시안”이라며 2028 수능에서 이과계열 학생들이 미적분Ⅱ와 기하를 선택하도
올해 고등학교 1학년이 응시하는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수학 가형 출제범위가 기존보다 줄고 수학 나형의 출제범위는 늘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19일 서울교대에서 2021학년도 수능 출제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공청회를 열었다.
이번 공청회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능 개편안이 1년 연기된 2022학년도 수능부터 적용되면서 2021
지난해 6월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이 지명됐을 때부터 우려하는 목소리가 컸다. 청문회에서는 논문 표절이 주된 반대 이유였다. 본인은 학계 관행 등을 이유로 강력히 부인해왔지만, 이 문제는 완결된 게 아니다. 서울대 연구진실성위원회의 석사논문 표절 여부 조사가 남아 있다. 교육부의 감독을 받는 서울대가 현직 교육부총리를
국회는 14일 본회의를 열고 교육·사회·문화 분야에 대한 대정부질문을 시행한다. 대학수학능력평가 개편과 공영방송 개혁, 복지 확대에 따른 재원 문제 등 각종 현안을 놓고 여야의 공방이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여야는 이날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등을 상대로 교육·사회 정책을 중심으로 날 선 공세를 펼 것으로 예상된다. 자유한국당·국민의당·바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교육부는 2016년 3월부터 대입 3년 예고제에 따라 21학년도 수능 개편을 추진해 왔으나 여론수렴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불충분이 확인돼 1년 유예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근 기자 foto@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교육부는 2016년 3월부터 대입 3년 예고제에 따라 21학년도 수능 개편을 추진해 왔으나 여론수렴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불충분이 확인돼 1년 유예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근 기자 foto@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교육부는 2016년 3월부터 대입 3년 예고제에 따라 21학년도 수능 개편을 추진해 왔으나 여론수렴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불충분이 확인돼 1년 유예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근 기자 foto@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 관련 기자회견을 마치고 고개숙여 인사하고 있다. 교육부는 2016년 3월부터 대입 3년 예고제에 따라 21학년도 수능 개편을 추진해 왔으나 여론수렴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불충분이 확인돼 1년 유예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근 기자 foto@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교육부는 2016년 3월부터 대입 3년 예고제에 따라 21학년도 수능 개편을 추진해 왔으나 여론수렴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불충분이 확인돼 1년 유예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근 기자 foto@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 관련 기자회견 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교육부는 2016년 3월부터 대입 3년 예고제에 따라 21학년도 수능 개편을 추진해 왔으나 여론수렴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불충분이 확인돼 1년 유예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근 기자 foto@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 관련 기자회견을 마치고 브리핑룸을 나서고 있다. 교육부는 2016년 3월부터 대입 3년 예고제에 따라 21학년도 수능 개편을 추진해 왔으나 여론수렴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불충분이 확인돼 1년 유예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근 기자 foto@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 관련 기자회견을 마치고 브리핑룸을 나서고 있다. 교육부는 2016년 3월부터 대입 3년 예고제에 따라 21학년도 수능 개편을 추진해 왔으나 여론수렴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불충분이 확인돼 1년 유예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근 기자 foto@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교육부는 2016년 3월부터 대입 3년 예고제에 따라 21학년도 수능 개편을 추진해 왔으나 여론수렴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불충분이 확인돼 1년 유예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근 기자 foto@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교육부는 2016년 3월부터 대입 3년 예고제에 따라 21학년도 수능 개편을 추진해 왔으나 여론수렴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불충분이 확인돼 1년 유예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근 기자 foto@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 관련 기자회견을 위해 브리핑룸으로 향하고 있다. 교육부는 2016년 3월부터 대입 3년 예고제에 따라 21학년도 수능 개편을 추진해 왔으나 여론수렴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불충분이 확인돼 1년 유예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근 기자 foto@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교육부는 2016년 3월부터 대입 3년 예고제에 따라 21학년도 수능 개편을 추진해 왔으나 여론수렴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불충분이 확인돼 1년 유예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근 기자 foto@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교육부는 2016년 3월부터 대입 3년 예고제에 따라 21학년도 수능 개편을 추진해 왔으나 여론수렴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불충분이 확인돼 1년 유예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근 기자 fo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