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천정부지로 오른 공사비가 전국 건설현장을 강타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건설공사비지수는 129.71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2% 올랐다. 2020년 평균 100대를 유지하던 공사비지수는 지난해 평균 127.9까지 껑충 뛰었다. 최근 3년간 연평균 인상률이 8.5%에 달한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곳곳의 정
서울 곳곳의 공사현장에서 조합과 시공사 사이 공사비 증액을 둔 갈등 끝에 공사가 멈추거나 아예 도급계약을 해지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정부가 이달 공사비 인상을 겨냥한 안정화 방안을 제시했으나 당장 활용할 수 있는 대책이 많지 않아 아쉽다는 평가가 나온다.
7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용산구 ‘이촌르엘'(이촌현대 리모델링 사업) 공사현장에는 공사
시멘트 업계는 범정부 차원의 건설시장 활력 제고 방안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자재별 수급 안정 협의체 구성·운영 결정을 환영했다. 다만 시멘트 수입 허용 방안에 대해서는 우려하는 분위기다.
한국시멘트협회는 2일 정부가 발표한 ‘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한 건설공사비 안정화 방안’에 대해 “건설산업의 경영위기는 후방에서 시멘트를 공급하는 시멘트 업계에도 심각한 타
정부가 2026년까지 공사비 상승률을 2% 이내로 조절하는 ‘건설공사비 안정화 방안’을 내놓자 건설업계는 환영 의사를 밝히면서도 실효성에는 물음표를 달았다.
2일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건단연)는 보도자료를 내고 “건설업계 전반에 퍼진 위기 상황을 해소하고 건설시장 활력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특히 시멘트 등 주요 자재에 대한
건설 원가가 나날이 치솟고 있다. 모든 건설 공사에 쓰이는 모래와 시멘트 가격부터 노동자 인건비까지 관련 공사 원가가 최근 수년간 두 자릿수 상승률을 웃돈다. 공사비 상승의 불똥은 공공과 민간 공사 중단이라는 ‘큰불’로 번지는 모양새다. 건설사들은 공사비 부담으로 공공택지 분양 사업은 물론, 철도와 공항 등 대규모 사회간접자본(SOC) 공사도 외면하기
최근 3기 신도시 공사비가 30%가량 오르는 등 분양가 상승이 지속하고 있다. 이에 더해 2025년부터는 친환경 주택 건설기준 개정안까지 적용될 계획이라 상승 폭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내 집 마련을 계획 중인 수요자들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인천 계양 테크노밸리 A2 블록 공공주택 건설사업의 총 사업비는
지난해 시멘트 가격 인상 등으로 호실적을 누린 국내 시멘트 업계가 올해는 부동산 시장 침체로 실적 부진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아파트 착공 실적이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저 수준까지 떨어진 데다 제조 원가와 환경규제에 대한 비용 투입 등 부담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일시멘트는 지난해 매출액이 1
신한투자증권은 14일 아세아시멘트에 대해 올해 시멘트 출하량 감소에도 실적 개선세는 이어질 전망이라며 목표주가(1만4600원)와 투자의견(‘매수’)을 모두 유지했다.
이지우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건축 착공 물량의 급감으로 올해 시멘트 내수 출하량은 전년 대비 5% 감소가 예상된다”며 “지난해 시멘트 가격 인상과 더불어 올해 초 레미콘 가격 인
한국기업평가(이하 KR)는 내년에도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하면서 신용등급 하향 우위의 기조가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 석유화학, 소매유통, 철강 업종의 경우 비우호적인 사업환경과 함께 재무부담이 해소되지 않아 등급 전망이 '부정적', 조선 업종 단 한 곳만이 '긍정적' 등급 전망이었다.
12일 KR은 '내년 산업환경 신용도 전망' 보고서를 통해
시멘트 업계의 시멘트 가격 인상 폭이 7%를 밑도는 수준에 맞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일·한일현대시멘트는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기존보다 7100원(약 6.8%) 올린 톤(t)당 11만2100원에 공급하기로 했다. 슬래그시멘트는 톤당 9만5000원에서 10만1500원으로 6.8% 오른다.
이는 당초 레미콘 업계에 통보했던
시멘트 등 원자잿값 상승으로 분양가도 오름세다. 이에 분양시장에서는 계약금 정액제, 중도금 무이자 등 금융 혜택을 제공해 수분양자의 자금 부담을 낮춘 신규 분양 단지로 관심이 쏠리고 있다.
15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전국 민간아파트 분양가는 3.3㎡당 1625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
아세아시멘트가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하면서 국내 7개 대형 시멘트사들이 모두 가격 인상에 나서게 됐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전날 아세아시멘트는 내달부터 벌크 시멘트의 톤당 가격을 현행 10만5300원에서 11만8000원으로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12.1% 인상폭이다.
아세아시멘트가 시멘트 값 인상 대열에 마지막으로 합류하면서 국내 대형 시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2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가격과 청약경쟁률이 높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10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8월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전월보다 3.5p 상승한 96.7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21년 6월(108.8)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수도권은 전월보다 16.9
전국 아파트 분양 시장에 개선 기대감이 확대하고 있다. 분양 물량 전망지수는 올해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훈풍이 이어지는 모양새다.
3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달 아파트 분양전망 지수는 전국 기준 전월 대비 3.3포인트(p) 상승한 100.8로 집계됐다. 수도권은 111.3으로 전망됐고, 지방 광역시는 101.6으
-"포장시멘트 기준을 중간판매상 판매가격으로 산정...중대한 오류"-"시멘트 가격 14% 오를 때 분양가 대비 시멘트 가격 인상 비용 0.06% 증가"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26일 발표한 자료와 관련해 한국시멘트협회가 심각한 오류가 있다며 정면 반박했다. 협회 측은 "시멘트 가격이 14% 인상되면 실제 분양가 대비 시멘트 가격 인상 비용은 0.06% 증가
삼표시멘트가 시멘트 부족 사태의 수혜를 톡톡히 보고 있다. 지난해부터 세계적인 원자재 수급난과 화물파업 연대 등 국내·외 여파로 시멘트가 부족해지면서 가격 인상의 여력이 생겼기 때문이다. 지난해 두 차례 단가 인상으로 올해 1분기 영업이익도 크게 성장했다.
13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삼표시멘트는 최근 시멘트 수급난에 따른 가격 인상으로 1분기 실적과
전국 아파트의 분양가가 가파르게 치솟으면서 3.3㎡당 평균 2100만 원을 넘어섰다.
12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7월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2101만 원(4일 기준)을 기록 중이다. 지난해 평균 1519만 원보다 38.31% 상승한 수치다.
분양가는 원자잿값 등의 상승과 정부의 부동산 시장 활성화 대책 등이 맞물리면서 오름세를 지
국내 시멘트 업계가 '시멘트의 날'을 맞아 한 자리에 모였다. 업계는 그간 사회 인프라 건설과 경제발전에 대한 기여를 되새기고, 탄소중립과 환경경영 등 새로운 과제에 대한 변화를 강조했다.
한국시멘트협회는 30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제2회 시멘트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시멘트 업계 대표이사 등 업계 임직원을 비롯해 국민의힘 이철
시멘트 업계가 정부에 탄소중립 정책 등으로 인한 비용 부담을 호소했다. 정부는 시멘트 수급 및 가격 안정화를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오후 한국생산성본부에서 시멘트 업계와 간담회를 열고 최근 시멘트 가격 인상과 관련해 논의했다.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을 비롯해 쌍용 C&E, 성신양회 등 7개 시멘트 생산업체, 한국시멘트협회가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