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순 씨 별세, 강백원(식품의약품안전처 대변인) 씨 모친상 = 26일, 전주 현대장례식장 101호, 발인 28일 오후 1시, 063-275-4444
▲박분순 씨 별세, 박승국(한올바이오파마 대표이사) 씨 장모상 = 25일, 경기도 부천시 세종병원 장례식장 1호, 발인 28일 오전 8시, 032-346-1164
▲박원오 씨 별세, 이복분 씨 남편
휴온스가 2021년에도 매출 성장 가도를 달렸다.
휴온스는 지난해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 4369억원을 기록, 전년 대비 7.4% 성장하며 사상 최대 매출 기록을 경신했다고 16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496억, 당기순이익은 346억을 기록하며 각 8%, 39% 감소했다.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는 매출 4036억, 영업이익 480억, 당기순이익 357억을 기
휴온스가 아리바이오와 손잡고 뇌질환∙치매치료제를 개발한다.
휴온스는 신약 개발 전문 기업 아리바이오와 ‘포괄적 뇌질환 개선 및 치매치료제 개발’에 대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아리바이오가 개발 중인 알츠하이머 치료제 ‘AR1001’을 비롯해 뇌질환, 치매 타깃 파이프라인의 상용화 및 세계 시장 진출이 목표다. 이를 위해 양사간
휴온스가 러시아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V(Sputnik V)’의 델타 변이 예방효과 확인에 나선다.
휴온스글로벌의 자회사 휴온스는 ‘스푸트니크V’의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효력 시험을 시작한다고 9일 밝혔다.
휴온스는 고려대 생물안전센터와 공동연구를 통해 코로나19 비변이주 대비 전파력이 60% 이상 높고, 중증 진행 확률도 2배가량
휴온스가 건강기능식품 성장에 힘입어 2분기 매출은 소폭 증가했지만 연구개발비 증가와 마케팅 비용 상승으로 영업이익은 뒷걸음질쳤다.
휴온스가 2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1111억 원, 영업이익은 5% 감소한 126억 원을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휴온스의 매출 증가는 대표 건강기능식품인 여성 갱년기 유산균 ‘엘루비 메
휴온스가 러시아의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V’에 이어 1회 접종 방식인 ‘스푸트니크 라이트’의 국내 허가 및 판매에 대한 독점권을 확보했다고 7일 밝혔다.
휴온스글로벌을 주축으로 하는 ‘휴온스글로벌 컨소시엄’은 RDIF(러시아 국부펀드)와 스푸트니크 라이트 국내 생산에 대한 최종 논의를 마치고 이달 러시아 기술진이 방한해 스푸트니크V와 라이트에 대한
휴온스는 3일 이사회를 열고 팬젠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 참여 방식으로 95억원을 투자하는 안건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또, 윤성태 휴온스글로벌 부회장은 개인 지분 5억원을 투자한다.
휴온스는 이번 투자를 통해 팬젠이 연구∙개발하는 바이오의약품 파이프라인을 미래 포트폴리오로 확보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또 관계사인 휴온스랩과 팬잰이 지난 4월
휴온스가 바이오의약품 사업 진출을 위해 팬젠과 협력한다.
휴온스는 3일 이사회를 열고 바이오의약품 전문기업 팬젠에 유상증자 참여 방식으로 95억 원을 투자하는 안건을 결의했다. 또한, 윤성태 휴온스글로벌 부회장이 개인 지분으로 5억 원을 투입, 총 100억 원의 투자를 단행했다.
이번 투자를 통해 휴온스는 팬젠이 연구∙개발하는 바이오의약품 파이프라인을
더불어민주당에서 31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중 항체가 형성된 경우 백신 접종자와 동일한 인센티브를 주자는 의견이 나왔다.
민주당 코로나 백신·치료제 특별위원회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2차 회의를 열어 백신 접종 인센티브 관련 논의 중 이 같은 의견이 제기됐다.
특위 위원장이자 당 최고위원인 전혜숙 의원은 모두발언에서 “그
휴온스는 국내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웨어러블 인슐린 펌프 ‘이오패치’의 국내 유통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이오패치는 웨어러블 약물 전달 솔루션 전문 기업 이오플로우가 개발한 인슐린 펌프다. 펜이나 주사기를 사용하지 않고 피하지방이 많은 신체 부위에 부착해 사용하는 방식의 웨어러블 제품이다. 미국 인슐렛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상용화에 성공했다.
휴온스는 17일 휴온스USA가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시의 ‘코로나19 백신 주사기’ 공급업체로 선정돼 1차 물량의 납품을 마쳤다고 발표했다.
휴온스가 공급하는 코로나19 백신 주사기는 국내 신아양행의 최소잔여형(LDS, Low Dead Space) 안전 주사기로, 휴온스글로벌의 자회사 휴온스USA를 통해 현지에 납품된다. 규모는 이번달 내 230만, 4월
휴온스USA가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시의 ‘코로나19 백신 주사기’ 공급 업체로 선정돼 1차 물량 납품을 마쳤다고 17일 밝혔다.
휴온스가 공급하는 코로나19 백신 주사기는 국내 업체인 신아양행의 최소잔여형(LDS, Low Dead Space) 안전 주사기로, 휴온스그룹의 미국 법인 휴온스USA를 통해 현지에 납품된다.
휴온스USA는 워싱턴주 병원협회(WS
휴온스가 약물재창출을 통해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 중인 ‘제피러스(성분명 부데소니드, 살메테롤)’의 세포 시험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억제 효력을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휴온스는 세포 시험에서 국내 가장 널리 분포된 ‘COVID-19 GH type 변이 바이러스’가 감염된 인체 폐 상피세포주에서 제피러스에 의한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 감소를 확인했다
휴온스(Huons)는 15일 잠정실적발표 공시를 통해 2020년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 4067억원, 영업이익 54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각각 11%, 12%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한 휴온스는 4분기 기준으로는 매출 1025억원, 영업이익 14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 대비 각각 2%, 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휴온스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전문의
휴온스가 미국의 항암제 전문 기업 ‘리팍 온코로지(LIPAC Oncology LLC, 이하 리팍)’와 공동 연구 개발 중인 표재성(비근침습) 방광암 항암 신약 ‘LiPax(리팍스, TSD-001)’의 미국 내 임상 1/2a를 성공적으로 종료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임상 1/2a는 방광 종양 절제술 후 방광 내 주입하는 항암제인 ‘Lipax(TSD-0
휴온스(Huons)는 17일 팜캐드(PharmCADD)와 ‘전략적 투자 및 AI 기반 신약개발을 위한 공동연구’에 대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휴온스는 이번 협약을 통해 팜캐드의 신약개발 플랫폼 ‘파뮬레이터(Pharmulator)’를 활용, 빠른 기간 내에 성공 확률이 높은 신약 후보물질들을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연구 분야와 범위는 양사 협의를 통해
휴온스가 24일 충북 제천시 바이오밸리에 점안제 전용 ‘휴온스 제2공장(제2공장)’ 건설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헬스케어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고, 전문성과 생산력 증대를 위해서다.
제2공장 준공에는 총 약 400억원이 투입되며, 부지 1만8142㎡에 연면적 1만2633㎡ 규모의 생산동과 물류센터가 건설된다. 완공은 오는 2022년 1월로, KGMP
휴온스가 ‘점안제’ 전용 제2공장 건설에 나선다.
휴온스는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고 전문성과 생산력 증대를 위해 충북 제천시 바이오밸리에 점안제 전용 ‘휴온스 제2공장(이하 ‘제2공장’)’ 건설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제2공장 준공에는 총 사업비 400억 원이 투입되고, 부지 1만8142㎡에 전체면적 1만2633㎡ 규모의 생산동과 물류
휴온스가 고려대학교의료원과 손잡고 흡입형 천식치료제 ‘제피러스’를 코로나19 치료제로 약물재창출에 나선다.
휴온스와 고려대학교 의료원산학협력단(이하 고려대의료원)은 지난 5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의료원 본부회의실에서 ‘코로나19 및 항바이러스치료제 공동연구에 대한 MOU’를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휴온스는 바이러스 질환 전문 연구 시설 및 연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