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열린 '한·체코 제2차 공급망·에너지 대화' 모두 발언"상호 수용 가능한 계약 도달이 중요…양측 기대 충족 집중해야"
한국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24조 원 규모 체코 신규 원전 본계약 체결에 청신호가 켜졌다.
루카쉬 블첵 체코 산업통상부 장관은 17일 한국의 '팀 코리아'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체코 신규 원전 사업과 관련해 "최종 계약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루카쉬 블첵 체코 산업통상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17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제2차 한-체코 장관급 공급망·에너지 대화’가 열렸다. 이번 대화에서 양측은 원전과 무탄소 에너지, 무역·투자·공급망, 첨단 산업 등에 걸쳐 협력 사항을 점검하고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제2차 한-체코 장관급 공급망‧에너지 대화' 개최한-체코 반도체 협력 MOU 체결
우리나라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24조 원 규모의 체코 신규 원전 건설사업이 내달 최종 계약을 앞둔 가운데 양국 정부의 실물경제 수장이 서울에서 만나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1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날 안덕근 장관은 서울에서 루카쉬 블첵 (Lukáš Vlč
올해 수교 35주년을 맞은 체코와 미래차, 로봇, 배터리 분야 산업협력센터 구축을 논의하는 등 산업에너지 협력을 키운다. 특히 범정부 차원의 협의에 속도를 내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 7일 한-체코 경제협력 전담반(TF)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기획재정부와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외교부, 국방부, 문화체육관광부, 산업부,
尹 대통령·피알라 총리 회담...공동성명 채택한·체코 TIPF체결...무역·공급망 협력 확대양국 첨단 연구에 10년간 3700만 달러 투입협력 방안 구체화...‘행동계획’도 채택
윤석열 대통령의 체코 공식 방문을 계기로 우리나라와 체코 간 협력 관계가 한층 강화됐다. 양국은 특히 전면적인 경제 협력을 확대하는 동시에 첨단 과학기술 분야 공동 연구 개발
한·체코 비즈니스 포럼 기조 연설…4대 그룹 총수 동행양국 TIPF 체결...협력 MOU 14건 체결
체코를 공식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이제는 '팀 코리아'에서 나아가 '팀 체코리아(Czech-Korea)'가 돼 원전 르네상스를 함께 이뤄 나가자"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대한상공회의소와 체코상공회의소, 체코산업연맹이
한국과 일본이 '무탄소에너지(CFE·Carbon Free Energy) 활용 촉진을 위해 힘을 모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부산 벡스코에서 최연우 에너지정책관과 신이치 키하라 일본 경제산업성 국제탄소중립정책총괄조정관이 '한일 에너지 대화'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양국은 1986년부터 한-일 에너지대화를 지속하고 있으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기후산업국제
2020년 대비 2050년 3배로 용량은 약 1176GW 규모강경성 산업 차관 “36개 원전 건설한 韓, 에너지·신산업 훌륭한 파트너”한-EU 에너지 대화체 신설해 안보·무탄소에너지 협력 논의
우리나라와 미국, 프랑스, 영국, 아랍에미리트(UAE) 등 원자력 발전 사용 22개국이 세계 원전 용량을 3배로 확대하자고 뜻을 모았다. 2020년 대비 2050년
한·일 국장급 에너지정책대화가 5년 만에 재개됐다. 한·일 관계개선과 양국 정상 간 셔틀외교 완전복원에 따른 결과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부산에서 열리는 기후산업국제박람회를 계기로 25일 이원주 산업부 에너지정책관과 미나미 료(南亮) 일본 경제산업성 자원에너지청 수석 국제탄소중립정책 통괄조정관이 한-일 에너지정책 회담을 했다.
양국은 해외 에너지 의존도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이 에너지 신산업 등 협력을 강화한다. 한국산 가전제품에 대해선 우즈벡의 에너지 효율 강화 규제를 유예하고 개정에 들어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석탄회관에서 제1차 한-우즈벡 에너지 대화를 열고 양국 간 에너지 신산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우선 양국은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우즈벡 정부는 앞으로
문재인 대통령은 17일 청와대에서 샤프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한·우즈베크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관계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회담에서 "형제 같은 미르지요예프 대통령과 우즈베크 대표단이 서울에 오신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올해 1월 첫 정상회담을 대통령과 화상으로 했고, 마지막 정상회담을 대통령과 대면으로
러시아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에너지 대화가 10월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다고 타스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알렉산더 노박 러시아 에너지부 장관은 이같이 말하고, 정확한 날짜는 조만간 외교 채널을 통해 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러시아-OPEC 에너지 대화로 알려진 러시아와 OPEC 회원국간 회동은 2012년 9월 이후 처음이다. 네 번째이자 마지
대륙붕 개발을 포함한 동북아 지역 에너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일본 정부 간 3자 에너지 대화 채널을 구축해야 한다는 정부기관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20일 '국내 대륙붕 유전 개발 연구' 보고서를 통해 "동북아는 에너지 소비가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지역이면서, 부존 에너지원이 부족해 수급불균형이 가장 심한 지역"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