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유가증권 시장에서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없었다. 아센디오 1개 종목은 하한가로 마감했다.
이날 아센디오는 전 거래일 대비 29.8% 내린 278원을 기록했다. 아센디오는 전날 보통주 10주를 1주로 무상 병합하는 감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회사 측은 "결손금 보전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이라고 설명했다.
아센디오의 자본금은 517억8474만
코스닥 지수는 한 주간 26.61포인트(3.8%) 오른 733.20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투자자 홀로 1670억 원어치를 순매도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40억 원, 1490억 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인벤티지랩, 다음달 위고비 국내 출시에↑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번 주에는 인벤티지랩(72.88%)이 가장 많이 상승했다. 다음 달 덴마크 제약
△두산퓨얼셀, 2690억 규모 연료전지 시스템 장기유지보수계약(LTSA) 용역제공 계약 체결
△사조오양, 푸디스트 양수대금 800억 지급 완료
△기아, 올해 4분기 중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예고
△카프로, 완전자본잠식 해소로 상장적격성 실질 심사 관련 기업심사위원회 심의 대상 결정
△한창, 손동우 대표이사 사임
△코오롱글로벌, 806억 규모 시흥인천
엑스큐어넷은 지난 19일 스마트마인드, 젠포스에이아이와 ‘인공지능(AI) 기반 이상 행위 분석 기술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엑스큐어넷은 내부정보유출 방지 솔루션을 전문적으로 개발 및 공급해온 기업으로 자사 솔루션 Venus/EMASS의 이상 행위 분석 기술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스마트마인드는 정형·비정형 데이터
△고스트스튜디오, 54억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에어부산, 상반기 매출액 5076억 원 영업이익 890억 원 기록…전년 대비 각각 23.4%, 8.9% 증가
△에프엔에스테크, 40억 규모 대형 글라스 슬리밍 기계장치 추가 공급계약 체결
△한국항공우주, 하성용 외 2명 전직 임원에 대한 업무상 횡령 및 배임 등의 2심 판결에 대한 검찰의 상고 제기
18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상한가 혹은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없었다.
이날 코스닥시장에서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디엑스앤브이엑스(DXVX), 엑스큐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DXVX는 29.96% 상승한 2195원에 거래를 마쳤다. DXVX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을 가속화 한다는 소식에 상한가를 기록한 것으로
엑스큐어가 강세다. 제3자배정 유상증자와 전환사채(CB) 발행을 통해 230억 원을 조달한다는 소식이 오름세를 이끈 것으로 보인다.
18일 오후 2시 7분 기준 엑스큐어는 전일 대비 29.89%(1880원) 오른 8170원에 거래 중이다.
이날 엑스큐어는 운영자금 및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80억 원 조달을 위한 에이아이마인드봇에쿼티 대상 제3자배정 유
17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인디에프다.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없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인디에프는 29.96% 오른 963원에 장을 마감했다.
인디에프는 '트럼프 테마주'로 분류돼 상한가를 달성한 것으로 풀이된다. 인디에프는 트럼프 총격 사태 다음 거래일인 15일에도 상한가를 기록한 바 있다.
코스닥시장에서 상한가를 기록
코스닥은 지난 한 주(8~12일)간 14.27p(1.71%) 오른 850.37에 마감했다. 이 기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4865억 원, 474억 원 순매수했고, 기관은 4747억 원 순매도했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 주간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포커스에이치엔에스로 한 주간 64.32% 오른 3615원에 마감했다.
포커스에이
15일 코스피시장은 개인의 매수세 확대에 상승 마감 했으며, 코스닥시장은 외국인의 매수세에 동반 상승 했다.
코스피시장의 투자자 별 매매동향을 살펴보면 개인만 홀로 매수 했으며, 기관과 외국인은 동반 매도세를 보였다.
개인은 3269억 원을 매수했으며 기관은 800억 원을, 외국인은 2651억 원을 각각 매도했다.
한편, 코스닥시장에선 외국인이 1620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엑스큐어에 대해 지난해 11월 27일 기업심사위원회 심의를 거쳐 부여한 4개월의 개선기간이 3월 27일자로 종료됐다고 29일 공시했다.
회사는 개선기간 종료일로부터 15일(4월 19일) 이내에 개선계획 이행내역서, 개선계획 이행결과에 대한 해당분야 전문가의 확인서 등을 제출해야 한다.
거래소는 서류를 제출받은 날로부터 20
두 번 이상 최대주주가 바뀐 코스닥 상장사 중 절반이 거래정지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간 최대주주가 수차례 바뀌었다는 것은 경영권 유지가 불안정한 상태로 해석되며, 이는 투자 신뢰도를 낮추는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외형확장을 내세운 인수·합병의 경우, 주체 간 정보 비대칭성이 크고, 내부 리스크 파악이 어려워 이들보다 정보 접근성이 낮은 일반 투
△AJ네트웍스, 674억 규모 자회사 지분 취득 결정
△HDC현대산업개발, 1319억 규모 공사 수주
△필룩스, 강세찬 사외이사 중도 퇴임
△거래소 "코오롱티슈진, 상장폐지사유 추가…반기 감사의견 '의견거절'"
△코닉글로리, JOY FRIENDS PTE. LTD.로 최대주주 변경
△경남바이오파마, 79만주 규모 전환청구권 행사
△SK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