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대 기업 체감 경기 조사1월 BSI 실적치 87.3 기록“저성장 구조 굳어질 수도”
국내 기업들의 체감 경기가 3년 연속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실적 악화가 지속된다면 경제 저성장 구조가 굳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30일 한국경제인협회가 매출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87.3을 기
복합 PMI 속보치, 7월보다 소폭 상회신규 주문 포함 지수는 12월 이후 최저치
유로존 제조업 활동이 8월에도 여전히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제조업 수요가 급격한 속도로 감소하면서 회복이 다소 요원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8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5.8로 집계됐다. 예상치 45
국내 7대 그룹의 수익성이 3년 연속 악화하고 있다. 삼성, SK, 포스코, LG 등 대형 그룹사 위주로 수익성이 대폭 하락해 그룹 합산 EBITDA는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EBITDA는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창출능력을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를 말한다.
29일 한국기업평가는 그룹 분석 웹세미나를 열고 국내 주요 7대 그룹사의 재무역량과
건설·부동산 시장의 일부 긍정적 신호에도 불구하고, 하반기 경기는 연속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민간 부문을 중심으로 건설 수주와 투자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민간 부분의 공급을 확대할 수 있도록 유인책을 만들어야 경기를 회복할 동력이 마련될 것이라는 업계 의견에 국토교통부도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책임준공 예외 범위를 확대하고,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의 경기전망이 두 달 연속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소상공인의 6월 전망 경기지수(BSI)는 67.4로 전달 대비 7.0포인트 하락했다. 소상공인의 6월 전망 BSI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개인 서비스업이 57.8로 전달보다 14.0포인트 하락했고 제조업(-12.7포인트), 수리업(-9.5포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침체가 위축되면서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의 경기전망이 두 달 연속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소상공인의 6월 전망 경기지수(BSI)는 67.4로 전달 대비 7.0포인트 하락했다. 전통시장의 6월 전망 BSI도 63.0으로 3.7포인트 내렸다. 이로써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의 전망 BSI는 4월 이후 두 달 연
계절가전 강자로 꼽히는 신일전자와 파세코가 지난해 경기침체와 소비 부진에 실적 악화를 피하지 못했다. 신일전자는 인공지능(AI)을 적용한 신제품 출시로, 파세코는 내실 경영과 판매 채널 확대로 올해 성장세를 끌어올릴 계획이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일전자는 지난해 매출액이 1843억 원으로 전년(2027억 원) 대비 9.07% 감소했다. 이 기간
아파트 분양시장을 바라보는 주택사업자들의 시각이 2개월 연속 악화했다. 수도권은 개선 전망이 나왔지만, 지방은 모두 하락 전망이 나와 분양시장 양극화가 심화할 것이란 예상이다.
2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4월 전국 아파트분양전망지수가 전월 대비 5.9p 하락한 75.5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월 86.2에서 3월 8
중소기업 경기 전망이 2개월 연속 악화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0월 13일부터 20일까지 3048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23년 11월 중소기업 경기전망조사’를 한 결과 11월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는 80.7로 8월(79.7)부터 2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한 이후 2개월 연속 하락 흐름을 보였다고 30일 밝혔다.
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소비자심리지수 4개월 연속 상승… 13개월 만에 '비관적 → 낙관적'지난달 교역조건 26개월 연속 악화… 이번 달 개선 기대감도
국민들의 경제 전반에 대한 인식이 13개월 만에 낙관적으로 돌아섰다. 대면 활동이 늘고 물가 상승세도 다소 꺾인 영향이다.
반면 우리나라 교역조건은 지난달 반도체 수출 가격이 크게 하락하며 26개월째 악화했다. 다만 반도체
지난달 반도체 수출 가격 등이 하락하며 우리나라 교역조건이 26개월째 악화했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5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에 따르면 올해 5월 수출금액지수는 125.70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5% 하락했다. 8개월 연속 하락세다.
품목별로 보면, 운송장비(33.6%), 전기장비(2.0%) 등이 증가했으나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
지난달 반도체와 석탄 및 석유제품 수출 등이 줄며 우리나라 교역조건이 25개월째 악화했다.
3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4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에 따르면 올해 4월 수출금액지수는 118.32로 전년 동월 대비 16% 하락했다. 7개월 연속 하락세다.
품목별로 보면, 운송장비(27.7%) 등이 증가했으나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38.8%
지난달 IT 경기 부진 등으로 반도체 수출이 크게 줄며 우리나라 교역조건이 24개월째 악화됐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3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에 따르면 올해 3월 수출금액지수는 133.28로 전년 동월 대비 13.5% 하락했다. 6개월 연속 하락세다.
품목별로는 운송장비(38.9%) 등이 증가했으나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34
한은 '2023년 2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발표반도체 등 IT부문 수출 하락폭 14년 1개월 만에 가장 커수입금액지수는 3개월 만에 상승 전환
지난달 IT 경기 부진 등으로 반도체 수출이 크게 줄며 우리나라 교역조건이 23개월째 악화됐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2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에 따르면 올해 2월 수출금액지수는 120.
지난달 IT 경기 부진으로 반도체 수출이 줄면서 수출금액지수가 2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수출 한 단위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뜻하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22개월 연속 악화했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1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에 따르면 올해 1월 수출금액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8.3% 하락한 110.50을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11월 기업 경기 전망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느끼는 경기 전망을 보여주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2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BSI를 조사한 결과 11월 BSI 전망치는 86.7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2020년 10월(84.6)
원유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으로 수입금액이 19개월째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수입금액이 수출금액보다 큰 폭으로 오르면서 교역 조건은 15개월 연속 악화됐다.
수출상품과 수입상품의 한 단위당 가격비율에 해당하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의 경우 수출 가격의 오름세(9.9%)보다 수입 가격의 오름세(22.0%)가 높아 10.0%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유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으로 수입금액이 18개월째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수입금액이 수출금액보다 큰 폭으로 오르면서 교역 조건은 14개월 연속 악화됐다.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5월 무역지수 및 교역 조건’에 따르면 올해 5월 수입금액지수는 176.50으로 전년 동월 대비 32% 상승했다.
2020년 12월(2.9%) 이후
대내외 경제여건 악화로 기업경기 전망이 1년 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29일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벌인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 7월 BSI 전망치가 92.6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월(91.7) 이후 1년 6개월 만에 최저치다.
BSI가 기준선인 100보다 높으면 경기 전망에
국제 원자재가격 폭등으로 기업경기 전망 부진이 3개월 연속 이어졌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벌인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 6월 BSI 전망치가 96.3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지난해 2월(96.6) 이후 16개월 만에 3개월 연속 기준선 100을 하회했다.
BSI가 기준선인 100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