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국내에 왜곡된 기업 인식으로 인한 '반(反)기업정서'가 만연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올바른 시장경제 교육에 대한 적극적 투자와 기업인들의 준법정신이 요구된다고 진단했다.
경총은 1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한국의 반기업정서, 원인 진단과 개선 방안'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손경식 경총 회장의
최근 ESG 평가 기준 표준화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건 글로벌 연기금과 자산운용사들이 ESG 평가를 근거로 투자처를 결정하는 경우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여전히 글로벌 표준이 없어 도입 초기 혼란기를 겪고 있다는 게 문제다.
소비자들 역시 기업들의 ESG 성과를 유심히 살펴보는 경우가 늘고 있다. 글로벌지속가능투자연합(GSIA)이 추정한
기업의 ESG를 평가하는 기관 및 기준이 난립하고 있다는 건, 그만큼 ESG 경영이 중요해졌다는 의미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재계 총수들을 비롯한 대다수 기업 오너 및 최고경영자(CEO)들은 올해 신년사에서 주요 키워드로 ESG 경영을 꼽았다. 사회 구성원과 이해관계자들의 신뢰를 받는 기업이 되기 위해 ESG 경영의 중요성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구속되면서, 선장 잃은 삼성의 경영 행보에 빨간불이 켜졌다. 삼성은 당분간 전문경영인 체제로 운영되겠지만, 한계가 뚜렷해 상당 기간 경영에 차질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 투자와 인수합병(M&A) 역시 늦춰지면서, 포스트 코로나·4차 산업혁명의 급변하는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가 팽배하다.
코로나로
미전실 부재로 인한 혼선 잇따라새로운 방식의 컨트롤타워 구축해야
‘비서실-구조조정본부-전략기획실-미래전략실’로 이어진 삼성그룹의 컨트롤타워는 삼성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킨 주역 중 하나다.
고(故) 이병철, 이건희 회장이 그룹의 나아가야 할 방향과 큰 그림을 제시하면, 컨트롤타워는 이 회장의 청사진을 구체화할 방안들을 논의하고 계열사 간 역할 조정
삼성 글로벌 기업으로 키운 일등 공신이름만 세 번이나 바뀌는 등 영욕 교차컨트롤타워 부활 목소리… JY 재판 끝나야 논의 가능할 듯
삼성의 컨트롤타워는 이병철 선대 회장 시절인 1959년 설립된 회장 비서실이 효시다. 하지만 삼성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기 시작한 1990년대 후반 이후 이름이 세 번이나 바뀔 정도로 영욕의 세월을 보냈다.
외환위기
이건희 회장이 25일 별세하면서 경제계는 연 매출 400조 원에 육박하는 거대 그룹 삼성의 앞날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이 회장의 피와 땀이 밴 국내 최대 기업 삼성의 성공신화를 누가, 어떤 모습으로 성공신화를 이어갈지 관심이 뜨겁다. 그 중심에는 아들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있다. 이부진 호텔신라 부사장과 이서현 삼성미래복지재단 이사장의 행보도 주목
포스코가 28일 2020년 상반기 기업시민 전략회의를 개최하고, 기업시민 실천을 통해 100년 기업으로 지속 성장해 가겠다는 의지를 담은 ‘기업시민 실천가이드(CCMS, Corporate Citizenship Management Standards)’를 발표했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지난 2년간 포스코가 걸어온 기업시민의 발자취를 점검해보고
롯데가 포스트코로나 시대 회복 탄력성을 키우기 위한 HR(인재관리)의 역할과 방안을 모색했다.
롯데는 3일 서울 송파구에 있는 롯데월드타워에서 ‘2020 롯데 HR 포럼’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2008년 시작해 올해로 13회째를 맞이한 HR 포럼은 매년 전 계열사 인사·노무·교육 담당자들이 모여 그룹 HR 방향성을 공유하고 인사 관련 이슈를 학습하는
롯데가 코로나19 사태 극복을 위해 위닝 스피릿(Winning Spirit)을 기업문화로 만들어가기로 했다.
롯데는 12일 서울 잠실에 있는 롯데월드타워에서 ‘2020년 롯데 기업문화위원회 정기회의’를 열고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임직원에 위닝 스피릿을 심어주는 방안에 대해 외부 전문가에게 조언을 들었다고 13일 밝혔다.
올해로 5년째를 맞는 롯데
홈앤쇼핑이 중소기업과의 상생에 발 벗고 나선 공로를 인정받았다.
홈앤쇼핑은 한국경영학회가 주최하는 제21회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서 ‘경영학자 선정 대한민국 최우수경영대상’을 수상했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19일 강원 정선 하이원리조트에서 열린 시상식에는 최종삼 홈앤쇼핑 사장을 비롯해 김용준 한국경영학회 회장(성균관대 교수), 박기우 한국경영
롯데그룹은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 롯데지주 황각규 대표이사를 비롯한 47개 계열사 대표와 노조위원장등 임직원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9 가치창조문화 선포 기념식’을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
롯데 고유의 기업문화 발전 및 확산을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에는 롯데 임직원 외에 고용노동부 이재갑 장관,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김주영 위원장, 한국
△세화아이엠씨, 감사의견 거절로 상장폐지 절차 진행
△컨버즈, 계열회사 등 총 80여 억 채무 보증 결정
△두산중공업, 박지원·최형희·정영인 각자 대표이사로 변경
△도화엔지니어링, 133억 규모 에스지레일 268만여 주 처분 결정
△일진다이아, 변정출 대표이사로 변경
△메타랩스, 유지헌 대표이사로 변경
△대유플러스, 위니아대유 인수금융 신용공여
롯데가 ‘일하고 싶은 회사’ 이미지를 강화한다. 우선 올해 신입사원 학자금 대출 이자 지원, 출산 축하금ㆍ유치원 지원금 확대 등을 통해 직원들의 업무 의욕과 몰입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롯데는 14일부터 15일까지 부산 롯데백화점 광복점에서 롯데 기업문화위원회 정기회의를 진행하고 이 같은 과제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회의
롯데는 5일 오후 서울 잠실 롯데콘서트홀에서 롯데 기업문화 컨퍼런스인 ‘2018 LOTTE SHARED HEARTS’ DAY’를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는 기업문화위원회 공동위원장인 황각규 롯데지주 대표이사와 이경묵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를 비롯해 계열사 롯데기업문화 TFT 직원 1000명이 참석한다. 임직원이 현장에서 실제로 체감하는 기업문화에 대
롯데그룹이 내년부터 업무시간 외 모바일을 이용한 업무 지시를 금지하는 등 일과 가정의 양립을 돕는 정책을 강화한다.
롯데그룹 기업문화위원회는 5일 롯데 부여리조트에서 기업문화위원회 공동 위원장인 황각규 롯데지주 대표이사, 이경묵 서울대 교수를 비롯한 내·외부위원, 현장 직원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두 번째 정기회의를 가졌다.
지난 8월 충
롯데그룹이 기업문화 개선을 위해 마련한 기업문화위원회가 발족 이후 현장을 찾아 생생한 목소리를 들었다. 기업문화위는 이를 통해 역 멘토링 도입과 창의적 휴게 공간 마련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롯데는 18일 기업문화위원회가 위원회 공동 위원장인 황각규 롯데 경영혁신실 사장, 이경묵 서울대 교수를 비롯해 내·외부위원, 주니어보드 대표, 실무진 등 20여
롯데는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기업문화위원회 주니어보드’ 위촉식을 진행했다. 롯데는 질적 성장에 기여하는 기업문화를 만들기 위한 본격적인 활동을 돌입한다고 31일 밝혔다.
기업문화위원회 공동위원장인 황각규 롯데 경영혁신실장, 이경묵 서울대 교수를 비롯해 윤종민 롯데 경영혁신실 HR혁신팀장, 황용석 롯데 경영혁신실 기업문화파트장 등이 참석한 이번 행사에
롯데그룹 정책 수립에 계열사 임직원의 목소리가 강화된다. 계열사 맞춤형 정책을 통해 현장 직원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이루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롯데는 4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기업문화위원회 2기’ 출범식을 갖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활동 계획을 밝혔다.
기업문화위원회는 2015년 9월 출범한 ‘기업문화개선위원회’의 명칭을 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