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이 정부의 서민금융 확대 방침에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가뜩이나 저금리와 내수침체로 수익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부실 위험이 높은 서민금융을 확대하기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날 오전 금융위원회는 서민금융 유관기관을 긴급소집하는 간담회를 가졌다. 서민금융 지원 정책을 마련하기 앞서 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을 들어보기 위한 것이다. 금융위
‘적격전환대출’, ‘목돈 안 드는 드림전세대출’, ‘재형저축’
정부가 창조금융 시현을 위해 내놓은 정책금융 상품들이다. 그런데 반응이 신통치 않다. 판매 건수가 10건에도 못 미치는 상품이 수두룩하다. 몇몇 은행들은 ‘오피스텔 구입자금 대출’, ‘주거안정 주택구입 자금 대출’ 등 비인기 상품들은 아예 취급하지 않는다. 수요가 없기 때문이다.
정부가
#시중은행 상품개발 담당자인 김모(가명)씨는 올 들어 중소기업 대출 상품명에 ‘기술’이라는 단어를 붙이고 있다. 지난해 말까지는 ‘창조’라고 제목을 붙였지만 올해 상반기부터는 ‘기술금융’이라는 말이 새롭게 부각됐기 때문이다.
#모 손보사 상품개발에 근무하는 박모(가명)씨는 최근 한숨이 절로 나온다. 정부 정책에 발맞춰 장애인연금보험을 개발해 출시했지만
주택금융공사와 신한은행이 전·월세 상품 개발에 공동으로 나선다.
주택금융공사는 서민의 주거 안정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서울 세종대로 주택금융공사 본사에서 ‘서민의 주거안정 지원을 위한 주택금융 업무 협업’에 대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협약의 주요내용은 △전·월세 금융상품 개발 협력 △공공주택 입주자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적격전환대
국감이 마무리되면 다시 논의 전면에 부상할 이슈 중 하나가 부동산 핵심 법안들이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법안들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를 비롯, 분양가 상한제 폐지, 취득세 영구 인하, 리모델링 수직증축 등 한두 가지가 아니다.
안전행정부는 내년 1월부터 △6억원 이하 주택 1% △6억원 초과∼9억원 이하 주택 2% △9억원 초과 3%의 취득세율을
정부의 하우스푸어 지원대책인 적격전환대출제도가 겉돌고 있다. 적격전환대출을 시행하고 있지만 14개 은행 중 8개 은행은 아예 실적이 전무했으며 6개 은행도 10건 미만으로 실적이 미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새누리당 김종훈 의원이 주택금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시행된 적격전환대출은 9월 말 현재 20억원(24건
정부의 부실채권매입제도와 적격전환대출 실적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국회 정무위원회 새누리당 김종훈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부터 시행된 '부실채권 매입제도'는 1000억원을 목표로 했으나 5개월 동안 실적은 78억원(7.8%)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주택금융공사의 하우스푸어 대책 프로그램인 '적격전환
하우스푸어 구제를 위한 지원 대책이 지난 5월부터 시행 중이다.
정부는 올해 2만2000가구에게 2조원을 지원할 계획이며 은행권에만 한정했던 적격전환대출과 부실주택담보대출 채권 매입 범위를 금리가 높은 보험사,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으로 확대했다.
이로 인해 고금리 대출로 이자 부담이 크고 집을 내놓아도 팔리지 않아 어려움을 겪는 채무자들이 하우스푸어
IBK기업은행이 주택가치 하락 및 소득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하우스푸어를 위해‘IBK적격전환대출’을 판매한다고 3일 밝혔다.
IBK적격전환대출은 원리금 상환이 어려운 하우스푸어의 주택담보대출을 장기 고정금리형 적격대출로 전환해 주는 갈아타기용 상품으로, 금리는 기존 적격대출과 연동해 적용된다.
기존 대출의 담보 평가액과 담보인정비율(LTV)을 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