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풀이 부족한 상황에서 심사숙고해 후보군을 추리고 수차례 부탁해 어렵게 선임한다. 임기를 제한하는 데다 민감한 개인 정보까지 공고하도록 해 신규 선임은 물론 임기가 남은 사외이사의 연임 여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정부 당국이 법으로 사외이사의 임기를 제한하겠다고 나서면서 주주총회 시즌을 앞두고 상장사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주총을 불과 두 달가
매년 주주총회를 전후로 우리나라 상장사들의 사외이사들은 ‘거수기’ 논란에 휩싸인다. 기업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 회의체인 이사회에서 경영진을 견제하는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기보다 형식상 자리만 채우는 데 그치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올해 주총 시즌에도 이러한 관행은 끊이지 않았다.
CEO스코어에 따르면 작년 57개 대기업집단에 소속
금융 공공기관 및 공공기관이 지분을 보유한 34개 금융회사의 임원 가운데 40% 이상이 정·관계 출신의 '낙하산 인사'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기식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이 12일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금융 공공기관 및 공공기관이 지분을 보유한 34개 금융기업의 임원 268명 가운데 42%인 112명이 공무원과 정치권, 연구
사외이사란 전문 지식을 갖춘 외부인사를 회사 경영활동에 직접 참여시킴으로써 내부 경영진의 독단과 전횡을 막기 위한 제도다. 사외이사는 주로 법조계와 학계, 정관계 출신들이 선임되어 왔다. 쉽게 말해 한국 사회의 ‘파워엘리트’로 불리는 사람들이 국내 주요 금융회사의 사외이사로 선임되고 있는 것이다.
올해도 역시 이같은 관행은 벗어나지 못했다. 당초 금융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