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와 경기도 동두천에 각각 탄소소재와 패션을 특화한 국가산업단지가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2일 전북 전주에 탄소산업이 특화된 ‘전주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66만㎡)’와 접경지역인 경기 동두천에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동두천 국가산업단지(27만㎡)’의 산업단지계획을 승인하고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전주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는 지
정부가 국가식품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해 적극 나서기로 했다. 우선 지방자치단체, LH, 지원센터 등 관계기관들로 투자유치협의회를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손병석 국토교통부 1차관은 18일 전북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현장을 방문, 기업 입주현황과 산단 진입도로 추진현황을 보고받고 현장의견을 청취했다.
이 자리에서 손 차관은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는 전북
정부가 드론산업을 2026년까지 4조4000억 원 규모로 성장시키고 사업용 드론을 5만3000대 수준으로 상용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국가ㆍ공공기관의 다양한 업무에 드론 수요를 창출해 3700대 우선 도입한다.
국토교통부는 22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드론산업발전 기본계획(17~26)'을 발표하고 전국 7개 전용공역에서 23개 사업자 등이 다양한
올해까지 총 1161개 산업단지 지정
구미1단지 ‘유휴부지’ 77만㎡ 달해
당진 석문단지, 분양률 21.8% 불과
낙후지역에 입지, 수요 변화에 둔감
4차 산업혁명 맞춰 ‘산단 고도화’ 절실
국가산업단지는 우리나라 경제를 견인해왔지만 기업의 수요에 부응하지 못 해 국가 예산이 낭비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미분양 산업단지 문제가 심
국토교통부가 새 정부 들어 지역의 국가산업단지(이하 국가산단) 지정 요청이 쇄도하자 후보지 선정 및 지역별 추진전략 마련을 위한 타당성 분석에 들어간다. 또 산단이 4차 산업혁명 및 지역 일자리 창출을 견인할 수 있도록 산업입지 제도도 새롭게 정비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산업입지 공급 및 지원방안 연구’
LH가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의 행복주택 입주자를 모집하는 등 경제활성화를 위한 행보에 나선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지난 21일 이사회를 열고 토지취득․개발, 주택건설 및 주거복지사업 등에 총 17조5000억 원 규모의 2017년도 사업계획을 확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보다 1조2000억 원 늘어난 규모며 지난 4년간 투자계획 중 최대 규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경상남도와 13일 경상남도 도청청사에서 ‘지역인재 우선채용 및 지역개발업무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난 6월30일 개청식에서 이재영 사장이 ‘천년의 희망 진주시대’를 천명한 후 불과 2주 남짓 만에 실행에 옮긴 발빠른 지역상생 행보다.
이번 협약으로 LH와 경상남도는 지역인재를 우선
정부가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지방에서 산업입지 공급을 확대하기로 했다. 기업들의 투자를 늘리기 위한 조치다.
1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우선 인력, 기술이 풍부한 도시 지역에 정보기술(IT)·생명기술(BT) 등 첨단산업용 용지인 도시첨단산단을 조성한다. 인천(23만3000㎡), 대구(14만8000㎡), 광주(37만2000㎡) 등 산업기반이 갖
정부의 지역발전 정책이 확 바뀐다. 기존 중앙정부 주도의 획일적인 지역정책이 지역이 주도하고 중앙정부가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방식으로 크게 개선된다. 기존 일방적 ‘지시’나 ‘명령’ 방식이 지역 체감도를 떨어뜨리고, 일자리 창출이나 기업투자 유인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2개 이상 시·군 전국 56개 ‘지역행복생활권’… 개발 주도권 지방 손으로 = 정
지방의 산업입지 공급이 늘어나고, 지역특화산단 조성 및 노후산단 리모델링 등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정부는 12일 대통령 주재 제5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발표한 지역경제 활성화대책에서 이같이 밝혔다.
먼저 정부는 IT·BT 등 첨단산업에 필요한 용지 공급을 위해 인력과 기술이 풍부한 도시지역에 도시첨단산업단지 개발을 확대한다.
올해는 1차로 인천, 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