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칠성음료는 칠성사이다가 올 상반기 벨기에 브뤼쉘에서 열린 ‘2024 ITI 국제식음료품평회’에서 ‘국제 우수 미각상(Superior Taste Award)’ 최고등급인 3스타로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칠성사이다는 이번 품평회에서 종합점수 91.4를 획득했다.
칠성사이다는 오랜 세월 동안 한결 같은 품질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브랜드 중 하나로 자리
프리미엄 피자 브랜드 한국파파존스는 올해 창립 20주년을 맞아 진행한 경품 이벤트 ‘슈퍼 플렉스(Super Flex)’의 당첨자를 17일 발표했다.
슈퍼 플렉스는 20년간 파파존스 피자에 보내주신 고객 성원에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기획된 경품이벤트로 파파존스 피자 온라인 채널에서 8월 이벤트 메뉴를 주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1등 경품인 롤
올해로 탄생 73주년을 맞은 롯데칠성음료의 탄산음료 ‘칠성사이다’는 국내 대표 장수 브랜드로, 매년 굳건한 판매량을 자랑하며 신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17일 롯데칠성음료에 따르면 칠성사이다의 7월말까지 누적 판매량은 250㎖ 캔 환산 기준 360억캔을 돌파했다. 한 캔당 높이가 13.3㎝인데 이를 연결한 길이는 지구 둘레(4만㎞) 120바퀴, 지구와
엔데믹 기대감이 퍼지면서 탄산, 주류 사업이 호조를 보여 롯데칠성음료의 실적이 대폭 개선됐다.
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롯데칠성음료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597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84.9%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매출은 6263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6.2% 증가했다. 순이익은 372억 원으로 127.3%
K음료가 전세계에서 인기를 끌면서 K푸드 열풍의 바통을 잇고 있다.
1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식품수출정보(이하 KATI)에 따르면 지난해 1~10월 국내 음료 부문 수출액은 4억9760만 달러(한화 약 5972억원)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4억6210달러였던 음료 수출액은 2020년 4억6484 달러로 뛰었고 지난해 4억 90
K푸드 바통을 K음료가 이어받을 기세다. 코로나 바이러스 이후 건강이 최대 화두로 떠오르면서 저칼로리 맥주, 채소 주스 등 국내 건강 관련 음료 수출량이 확 늘고 있어서다. 업계는 수출 지역을 확대하는 등 전 세계 입맛을 사로잡는 데 공들이고 있다.
31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17년 4억4200만 달러(한화 약 5190억 원)였던 음료 수출액은 지난해
국내에서 글로벌 식품 브랜드가 토종 브랜드의 기세에 맥을 못추고 있다.
세계 시장에서 승승장구하는 제품들도 국내 시장에서 굳건히 1위 자리를 지키는 토종 브랜드에 밀리는 사례가 비일비재해 일부 카테고리에선 한국이 '글로벌 식품브랜드의 무덤'이란 얘기까지 나올 정도다. 오랜 기간 쌓아온 신뢰자본을 바탕으로 국내 소비자들의 입맛을 선점한 점 등이 배경으로 꼽힌
코로나 바이러스로 건강 먹거리에 관심이 높아진 소비자들의 눈길이 '탄산수'에 쏠리고 있다. 최근 5년 새 탄산수 시장이 확 커진 가운데 과거 단종됐던 제로슈가 탄산음료가 재출시되는 등 저칼로리, 논알콜 탄산음료도 인기를 누리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는 국내 탄산수 판매량 2015년 1890만ℓ에서 지난해 2430만ℓ로 5년 만에
음료 및 주류업계가 '다이어트'에 나서고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최근 3년 만에 제로 탄산 시장에 다시 도전장을 내밀었다. 맥주 시장에 불어닥친 알콜과 열량을 확 빼는 '저칼로리' 바람이 음료업계로 옮겨붙은 모양새다. 특히 코카콜라가 사실상 제로 콜라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시장의 판도가 바뀔지 관심이 쏠린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칠성음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