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증권은 23일 에이피알에 대해 프로모션, 마케팅 비용이 늘며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 것으로 전망했다. 목표주가를 기존 7만4000원에서 6만3000원으로 하향 조정하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조소정 키움증권 연구원은 “에이피알의 4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45% 증가한 2200억 원, 영업이익은 11% 늘어난 380억 원으
뷰티테크 기업 에이피알이 올해 3분기 분기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
에이피알은 2024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741억 원, 영업이익 272억 원으로 잠정집계됐다고 6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2.8%, 영업이익은 24.6% 증가했다.
에이피알 관계자는 “역대 분기 중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며 “매출 증대에 따라 영업이익도 함께 늘었다”
삼성 '710만 대' 판매애플 1위…점유율은 하락
올해 3분기 기준 삼성전자 태블릿 판매량이 전년 대비 18.3% 성장했다.
5일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3분기 태블릿 시장 수량 기준 점유율은 17.9%로 집계돼 2위를 유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태블릿 판매량을 100만 대 이상 늘렸다. IDC는 삼성전자가 3분기에
지난달 화장품 수출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데다, 최근 중국 경기 부양책까지 겹치면서 부진한 시장 속 모멘텀으로 작용할지 관심이 쏠린다. 일부 종목은 외국인 보유율이 최고치에 달하면서 반도체의 수급이 화장품으로 옮겨갈지도 관전 포인트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9월 화장품 수출은 전년 대비 12.2% 늘어 9억2600만 달러를 기록해 역대 최대치
뷰티테크 기업 에이피알은 뷰티 디바이스 브랜드 ‘메디큐브 에이지알(AGE-R)’이 9월 셋째 주 기준 글로벌 누적 판매량 250만 대를 돌파했다고 2일 밝혔다. 이는 4월 200만 대 누적 판매 기록을 세운 이후 5개월 만이며, 2021년 3월 브랜드 최초로 ‘EMS 더마샷’을 출시한 이래 약 43개월 만에 달성한 결과다.
이번 250만 대 판매 기록은
네오팜 아마존에서 직영으로 전환하면서 수출국 비율에서 미국 시장이 20%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올리브영 입점으로 해외 관광객의 인지도 상승을 꾀한다.
2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네오팜의 수출국 비율은 미국 20%와 아시아 50%(중국 제외), 기타 권역 28%, 중국 3% 등이다.
네오팜 관계자는 “지난해 아마존 판매망을 직영으로 전환
LS증권이 에이피알에 대해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33만 원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25만6000원이다.
29일 조은애 LS증권 연구원은 “에이피알은 2014년 설립된 가정용 뷰티 디바이스 및 화장품 제조‧판매 업체”라며 “글로벌 주요 4개국(미국, 유럽, 일본, 한국)의 가정용 뷰티 디바이스 판매량은 지난해 1250
에이블씨엔씨의 화장품 브랜드 미샤는 미국 아마존 프라임데이 행사에서 브랜드 전체 매출이 전년 대비 2배 성장하며 역대 최대 성과를 거뒀다고 2일 밝혔다.
프라임데이는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에서 매년 열리는 연중 최대 규모 할인 이벤트다. 올해는 신규 가입자 수가 더 늘어나 행사 기간 동안 주문 금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하며 영향력도 한층 높아
팅크웨어가 유통채널 다각화와 글로벌 시장 확대 노력을 이어가면서 실적 상승세를 지속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로보락의 인기도 여전해 기대감을 키운다.
1일 블랙박스 업계에 따르면 팅크웨어는 1분기 매출액 96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한 실적을 거뒀다. 영업이익은 49억 원으로 10배 이상 늘었다.
팅크웨어는 올해 2분기 매출액, 영업이익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아마존 온라인 쇼핑 행사 '아마존 프라임 데이(Amazon Prime Day)'에 참가해 뷰티&퍼스널 케어(Beauty&Personal Care) 부문 전체 1~3위(판매 수량 기준)를 차지하며 역대 최대 성과를 냈다고 24일 밝혔다.
프라임 데이는 아마존 유료 서비스 회원을 대상으로 열리는 연중 최대 할인 행사다. 올해는 7월 16~
에이피알은 16~17일(현지시간) 진행된 아마존(Amazon) 프라임데이(Prime Day) 행사에서 메디큐브 화장품과 에이지알(AGE-R) 뷰티 디바이스 판매량이 지난해 성과를 뛰어넘었다고 24일 밝혔다.
에이피알은 이번 행사를 맞아 인기 제품인 ‘부스터 프로’ 외에도 △부스터힐러(현지명 부스터H) △에어샷 △유쎄라딥샷(현지명 딥샷) △바디샷 △아이
국내 화장품 투톱 아모레퍼시픽(아모레)과 LG생활건강(LG생건)이 인수합병(M&A)한 중소 뷰티 브랜드를 앞세워 해외 시장 파이를 키우고 있다. 해외에서 특히 더 인기인 중소 인디 브랜드(Indie Brand)를 포트폴리오에 추가해 글로벌 소비자를 끌어들이겠다는 계산이다.
23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화장품 수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18
기초에 색조까지 전 분야 주목도↑ODM 업체 노하우 덕 중소업체 경쟁력 뛰어나아마존, 국내 업체 입점 역제안 하기도
국산 화장품 브랜드가 세계 최대 이커머스 아마존의 대규모 할인행사 ‘프라임 데이(Prime Day)’에서 K뷰티의 저력을 과시했다. 특히 한국 중소기업 제품에 대한 외국인의 관심이 고조돼 국내 위탁생산 기술력에 이목이 쏠린다.
22일 화
1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 알파벳 등의 등락 폭이 컸다.
이날 대형 기술주와 소형주까지 대부분 업종에서 차익실현을 위한 매도세가 나타나면서 대형 기술주 7개를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M7) 중심으로 낙폭이 두드러졌다. 블룸버그는 투자자들이 대형 기술주에서 경기 민감종목으로 갈아타는 순환매 장세가 이어져 오면서 차익실현
아마존 프라임데이 시작, 최대 40% 할인테무, ‘테무 위크’로 아마존 힘 빼기미국서 월간 이용자 5000만명 달성 전망아마존, 중국서 직배송으로 ‘맞불’ 계획
미국 아마존의 대형 여름 세일 행사인 ‘프라임데이’가 16일(현지시간) 시작했다. 예년과 다른 점이 있다면 중국계 기업 테무가 막강한 경쟁자로 부상했다는 점이다. 올해 여름 쇼핑축제는 아마존과 테무
신한투자증권이 아모레퍼시픽에 대해 실적 턴어라운드 기조 등 호재가 대거 대기 중인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기존 17만 원에서 22만 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15만5900원이다.
30일 박현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1분기 연결매출 9115억 원, 영업이익 727억 원”이라며 “신한투자증권 추
네이처리퍼블릭, 25개국 200여개…일본·중동 시장 확대스킨푸드, 동남아·유럽…토니모리, 미국 시장 공략
‘1세대 화장품 로드숍’ 브랜드들이 해외 시장 진출로 부활의 날개를 펴고 있다. 중국발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사태에 이어 코로나19 여파까지 겹치면서 한동안 실적 부침을 겪었으나, 해외 시장 확대로 실적 반등을 꾀하는 모양새다.
7일 화장품
현대백화점그룹이 지난해 8000억 원을 들여 품에 안은 지누스가 4개 분기 연속 역성장했다. 지누스의 핵심 시장인 북미 지역의 계속된 부진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지누스는 유럽과 호주 등 다른 지역의 성장세를 끌어올리고, 한국 내 영업 활동 등을 강화해 실적 반등에 안간힘을 쓸 것으로 보인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매트리스 제조ㆍ유통기업 지누스의
가구·매트리스 전문기업 지누스는 세계 최대 소매 유통업체 ‘월마트'가 주관한 '2023 자원 재생 회담'에서 지속 가능성을 중시하는 대표 협력사 톱(TOP)4에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2023 자원 재생 회담은 50여 개국 3000여 명의 월마트 유통 관계자를 대상으로 우수 친환경 경영 사례를 발표하는 행사다. 국내 기업 중 대표 업체로 선정돼 발표를
위메프가 자사의 통합 풀필먼트 서비스 ‘W프라임’이 서비스 출시 이후 주문 건수가 30배 증가했다고 22일 밝혔다.
W프라임은 위메프가 글로벌 이커머스 물류 기업 큐익스프레스와 함께 상품 등록부터 재고 관리, 배송까지 지원하는 통합 풀필먼트 서비스다. 큐익스프레스가 갖춘 글로벌 배송 역량을 바탕으로 국내외 배송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파트너 물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