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통화스와프 만기를 연장하고 미국 환율조작국 지정을 피한 데 이어 국제신용평가사 신용등급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등 한국 경제의 3대 불확실성이 해소됐다. 하지만 북한 리스크 등 불확실성 불씨는 남아 있어 아직 긴장의 끈을 놓기에는 이르다는 분석이다.
미국 재무부는 18일 오전 발표한 10월 '주요 교역상대국의 환율정책 보고서'에서 우리나라를
김동연(사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4일(현지시각) 한ㆍ중 통화스와프 만기 연장과 관련해 "전혀 중국에서 무엇을 요구하거나 이면에서 요구한 게 없다. 반대급부는 없다"고 말했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와 IMF/WB 연차총회 참석차 워싱턴 DC를 방문한 김 부총리는 이날 특파원 간담회에서 '중국 측이 요구하거나
한국과 중국이 이달 10일 만기가 끝난 3600억 위안(약 560억 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 연장에 합의했다. 중국의 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경제 보복으로 한중 통화스와프 재연장이 불투명했지만, 만기일 이후에도 지속적인 협의를 거치며 최종 합의를 이끌어냈다.
이번 한중 통화스와프 만기 연장 합의로 그동안 얼어붙었던 양국간 경제교류에도 긍
한반도를 둘러싼 지정학적 리스크가 불거진 상황에서 미국과 중국까지 한국 경제를 옥죄는 형국으로 흘러가고 있다. 더욱이 내달에는 한국 경제를 위협할 대외변수가 이전 위기설이 제기됐던 4월, 8월보다 많아 ‘10월 위기설’이 고개를 드는 분위기다.
25일 정부와 경제연구기관에 따르면 내달에만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공동위원회 특별회기를 포함해 한·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