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주간(2월 3~7일) 코스닥 지수는 전주보다 2.01%(14.61포인트) 오른 728.29에 장을 마쳤다. 기관과 개인은 각각 1650억 원, 760억 원을 팔아치웠고, 외국인 홀로 3020억 원을 사들였다. 외국인투자자는 코스닥 시장에서 레인보우로보틱스(740억 원), 카페24(660억 원), 알테오젠(390억 원), 필옵틱스(290억 원), 에스
코스닥은 지난 한 주(6~10일)간 12.13p(1.72%) 오른 717.89에 마감했다. 이 기간 개인은 7504억 원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258억 원, 3183억 원 순매도했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 주간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현대ADM으로 일주일새 82.72% 오른 2960원에 마감했다. 관계사인 씨앤팜
현대ADM이 관계사인 씨앤팜의 주사제 전용 항암제를 경구용 항암제로 전환하는 사업을 맡았다는 소식에 이틀 연속 상승세다.
9일 오전 9시11분 현재 현대ADM은 전일 대비 135원(5.50%) 오른 2590원에 거래됐다.
전일 현대ADM과 관계사 씨앤팜은 주사제로만 사용되던 대표적 항암제 '도세탁셀'과 '파클리탁셀'을 경구용 항암제로 전환하는 사업을
8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신영와코루, 삼성공조였다.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없었다.
삼성공조는 29.93% 오른 1만2200원에 장을 마감했다. 'CES 2025'에서 인공지능(AI)이 주목받으면서 데이터센터용 냉난방공조 시스템(HAVC) 관련 기대감이 커진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삼성공조는 HAVC 관련 사업을 영위하긴 하지만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시장에서 상한가 또는 하한가 종목은 없었다.
코스닥에서는 지니틱스(29.93%), 파인테크닉스(30.00%), 현대ADM(30.00%)이 상한가를 기록했고, 캐리(-29.87%)는 하한가였다.
시스템 반도체 설계 회사인 지니틱스는 지난 8월 최대주주가 기존 서울전자통신 외 2인에서 할로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로 변경됐다.
11월 무상증자, 전월 대비 2배 이상 증가통상 호재로 인식되지만 투자 시 변동성 유의전문가 “무상증자 목적 명시해야”
연말이 다가올수록 무상증자 공시가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호재로 인식되는 소식이기에 투자에 뛰어드는 투자자가 늘어나는 가운데, 매매 시 변동성을 조심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한편, 전문가들은 무상증자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공시를
△삼성물산, 3조9708억 규모 카타르 공사 수주
△에코프로머티, 삼성SDI와 전구체 공급 계약…2057억 규모
△HJ중공업, 방위사업청과 고속함 성능 개량 1247억 규모 수주 계약
△HL홀딩스, 공익재단 설립 위한 자사주 무상 출연 계획 철회…“방식 재검토”
△파버나인, 30억 규모 자사주 소각 결정
△KG모빌리언스, 50억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