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 부지에 8000그루 식수10여 년간 여의도 5배 규모 조성
한화그룹은 산불로 서식지를 잃어버린 멸종위기 동ㆍ식물의 삶의 터전 복원을 위해 11번째 ‘한화 태양의 숲’ 조성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한화 태양의 숲 11호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경북 울진 나곡리에 조성했다. 19일 진행한 식수 행사에는 지역 주민을 포함 한화그룹 직원
이상기후에 따른 꿀벌 피해가 증가하는 가운데 꿀벌의 면역력을 높이기 위한 면역강화제가 개발됐다. 이를 기반으로 꿀벌 집단 폐사의 원인이 되는 '응애'를 없애는 약제도 개발해 효능을 확인하고 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동물 의약품 제조업체인 씨티씨백과 공동으로 꿀벌 면역강화제 '위닝비플러스액'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검역본부는 양봉 분야 현안인 꿀벌
정부가 최근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꿀벌 집단 폐사를 막기 위한 조사에 나섰다. 폐사의 원인으로 확인된 꿀벌응애의 발생 밀도 조사는 물론 월동에 대비한 피해 예방을 추진한다.
23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올해 아까시꿀 생산량은 벌통당 26.8㎏으로 평년 대비 51% 이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월동 전 내성 응애 확산으로 피해가 발생했지만 이후 꿀
농진청, IoT·딥러닝 적용…내부 환경 관리 기술 개발벌 생존력·작물 생산성 높아져…올해 8개 시·군 200개 시범 보급
스마트 기술을 접목해 꿀벌의 활동량과 생존 기간을 늘려 작물의 재배량을 늘리는 기술이 개발됐다. 벌통 내부의 환경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꿀벌의 움직임을 감지해 관리를 수월하게 하는 스마트벌통은 올해 8개 시·군에 시범 보급될 예정이다
크기가 크고 당도가 높아 해외에서도 인기가 높은 딸기 품종인 '킹스베리'의 수출량이 1년 새 약 2배로 늘었다. 병에 약하고 이동이 어렵다는 단점을 기술 개발을 통해 극복한 결과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킹스베리'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농업 융복합연구를 추진해 수출 실적을 크게 올렸다.
킹스베리는 기존 딸기보다 두 배 정도 크고 무게도 더
"벌은 꿀만 생산하는 생물이 아닙니다. 우리가 겨울에 먹는 딸기는 꿀벌이 없으면 생산할 수 없습니다. 벌은 인류 먹거리 생산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 중요한 생물입니다. 그런 꿀벌이 최근 많이 사라졌습니다."
이경용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양봉생태과 농업연구사는 이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 연구사는 "꿀벌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사라지는 꿀벌
오코노미는 넷플릭스와 왓챠 등 OTT(Over The Top) 서비스에 있는 콘텐츠를 통해 경제와 사회를 바라봅니다. 영화, 드라마, TV 쇼 등 여러 장르의 트렌디한 콘텐츠를 보며 어려운 경제를 재미있게 풀어내겠습니다.
벌집에서 사라지는 벌꿀이 사라지는 ‘군집 붕괴 현상’(CCD·Colony Collapse Disorder)이 2006년 미국 플로리다
최근 사라지는 꿀벌 피해를 막기 위해 정부가 원인으로 지목되는 이상기후에 대응하고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해 48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농촌진흥청은 꿀벌 집단폐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림청, 농림축산검역본부, 환경부, 기상청과 '꿀벌 보호를 위한 밀원수종 개발 및 생태계 보전'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최근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식용과 의약품, 화장품 등으로 쓰이는 곤충산업이 매년 시장 규모가 급성장하며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곤충산업이 바이오 신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보고, 곤충을 이용한 다양한 식품과 의약소재를 개발 중이다.
9일 농진청에 따르면 국내 곤충산업 시장은 지난해 8000억 원 규모로 2010년 대비 배로 증가했다. 곤충 용도별 경제적 가
우리나라 한 해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은 2014년 기준 연간 약 500만t에 이른다. 이를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면 약 20조 원 이상의 식량자원이 버려지는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극심한 식량 부족이 머지않아 다가올 미래라고 경고한다. 대체 식량으로 곤충산업이 뜨고 있다.
27일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2016 식량농업상황 보고서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곤충이 융·복합 기술과 만나면서 누에고치에서 실크 인공고막을 만들고 애기뿔소똥구리나 꿀벌의 벌침액인 봉독에서 피부 친화적 화장품을 생산해 화제다. 특히 전량 수입에 의존해 오던 화분매개 곤충인 서양 뒤영벌의 국내 대량 생산기술이 개발돼 수입대체 효과와 농가소득 증진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이와 함께 농업에 미생물이 활용돼 축산 악취
“아직도 곤충을 징그럽다고만 여기나요? 아니면 해충이라고만 생각하나요?”
조선왕조실록을 찾아보면 해충에 대해서는 황충(蝗蟲) 또는 그냥 충(蟲)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곤충’이란 말은 일반적인 종류들을 묶어 부르는 이름으로 사용했다.
그런 곤충들이 최근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누구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라고 하고, 누구는 ‘곤충산업은 신성장동력’이라
혐오스러운 벌레에서 ‘돈’ 되는 곤충으로, 곤충산업이 농촌의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올해 국내 곤충시장 규모가 2000억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한다. 3년 뒤인 2015년에는 시장 큐모가 더 커져 3000억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곤충 왜 키우냐고?…“판매 수익만 수억” = 이석철(53)씨는 경기도 안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