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25와 탁구 국가대표 신유빈 선수가 아동보육시설에 간식을 기부하는 등 나눔 활동에 나섰다.
GS25는 19일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아동보육시설 및 특수교육기관에 ‘국민 삐약이’ 탁구선수 신유빈 협업 상품 1600개를 기부하고 ESG경영 강화에 나섰다고 22일 밝혔다.
GS25는 이날 수원시 장안구 소재 보육원 꿈을키우는집을 방문, 협업 상품 시리
전국 권역별 편의점 인기 상품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적 특성이 소비 품목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6일 이투데이가 편의점 GS25를 운영하는 GS리테일에 의뢰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지역별 주요 품목 매출을 추출, 전국을 5개 권역(△서울ㆍ경기 △강원 △충청ㆍ전라 △대구ㆍ경북 △부산ㆍ경남)으로 나누고 지수화한 결과 서울은 도시락이,
"바나나우유도, 삼각김밥도 고르는 것마다 안된대요. 뭘 사라는 건가요?"
서울시교육청이 시행하는 ‘희망급식 바우처 지원사업’을 둘러싼 불만이 커지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학교에 가지 못하는 학생들이 끼니를 거르지 않게 하기 위해 시행됐지만 상품 선택지가 너무 적다는 지적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최근 원격수업에 참여하는 초·중
# 서울의 초등학생을 자녀로 둔 한 학부모는 최근 희망급식바우처로 도시락을 사기 위해 저녁 시간대 편의점을 방문했지만, 해당 품목은 모두 동난 상태였다. 그는 “편의점 직원이 편의점에서 바우처를 쓰려면 오전 시간에 와야 한다고 귀띔해줬다”며 혀를 내둘렀다.
주요 편의점에서 도시락이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서울시의 희망급식바우처 사업에 도시락 수요가 크게
‘희망급식 바우처’가 시작부터 논란이다.
지난 20일부터 사용이 시작된 희망급식 바우처는 서울시와 교육청이 원격수업을 하는 서울 지역 초중고 학생들을 위해 급식비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학생당 10만원씩 제로페이를 지급하고 이를 편의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희망급식 바우처다.
맞벌이가 늘고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전업주부들조차 등교하지 않는 날 아
서울시교육청이 원격수업 기간 급식을 먹지 못한 학생들에게 편의점에서 도시락 구입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1인당 10만 원 상당의 제로페이 포인트를 지급한다.
서울시교육청은 서울시, 자치구, 한국편의점산업협회 등과 협력해 '희망급식 바우처 지원' 사업을 이달 20일부터 7월 16일까지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사업을 통해 등교하지 않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