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도·베트남·말레이시아 글로벌 4개 계열사 임직원 145명 참여자동화, 최적화, 지능화 선도하는 TES 마스터플랜 기반 글로벌 계열사 시너지 극대화
CJ대한통운은 첨단 물류 기술 기반의 글로벌 성장 가속화를 위한 제8회 TES 글로벌 워크숍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는 CJ대한통운 본사를 비롯해 CJ 로지스틱스 아메리카(미
CJ대한통운이 인도 계열사 ‘CJ다슬(Darcl)’의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
CJ대한통운은 CJ다슬이 인도 증권거래위원회에 제출한 상장예비심사청구 접수가 완료됐다고 23일 밝혔다.
국내 물류기업 해외법인이 현지 주식시장에 상장을 추진하는 사례는 CJ대한통운이 처음이다. CJ대한통운은 2017년 인도 물류기업 다슬 지분 50%를 인수해 ‘CJ다
인도에 기반을 둔 CJ대한통운의 글로벌 계열사 CJ다슬(CJ DARCL Logistics)이 2년 연속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을 획득했다.
CJ대한통운은 인도 계열사 CJ다슬이 글로벌 기업문화 전문 리서치기관 GPTW(Great Place to Work)로부터 '2023-2024 인도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을 받았다고 15일 밝혔다. 지난해 인증
CJ대한통운은 CJ다슬이 세계적인 기업문화 전문 리서치기관 GPTW(Great Place to Work)로부터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을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GPTW는 미국의 경제 전문지 '포춘(FORTUNE)'과도 협력해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을 선정하는 등 기업문화와 관련해 세계적인 권위를 가지고 있는 리서치 기관이다. 지난 30여
CJ대한통운이 최첨단 혁신물류기술 이전을 통해 해외 계열사의 운영 효율을 높이고 있다.
CJ대한통운은 TES물류기술연구소에서 개발한 ‘수송복화 알고리즘’을 인도에 기반을 둔 글로벌 계열사인 CJ다슬(Darcl)에 이전해 화물차량 운영효율을 10% 이상 높였다고 8일 밝혔다.
수송복화 알고리즘 시스템은 물류센터, 거래처 등을 오가는 대형 수송 차량의
CJ대한통운이 빅데이터 기반의 최첨단 알고리즘 시스템으로 물류 효율 증대는 물론 탄소배출감소 효과까지 동시에 충족하는 녹색물류를 선도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빅데이터 기반 최첨단 ‘수송복화 알고리즘 시스템’을 통해 물류 네트워크를 최적화하고 탄소를 저감하는 녹색물류를 실천하고 있다고 5일 밝혔다.
수송복화 알고리즘 시스템은 허브터미널, 서브터미널,
CJ대한통운의 글로벌 임직원 숫자가 올해 상반기 기준 2만 1000명을 돌파했다.
CJ대한통운은 올 6월 말 기준 글로벌 임직원 수가 2만 1147명으로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전체 임직원 2만 7527명 가운데 해외 임직원이 76.8%에 달하는 수치로 대한통운이 CJ그룹에 본격 편입된 2013년 이후 7.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까지 현재의 2배인 매출 7000억 원을 달성하고 인도 1위 종합물류사업자로 도약하겠다”
푸닛 아가왈 CJ다슬 사장은 지난 1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 릴라팰리스 호텔에서 열린 ‘한인도 비즈니스 파트너십 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푸닛 사장은 ‘한인도 기업간 협력을 통한 공동성장방안’ 이라는 제하의 발표에서 CJ다슬과 모기업인 C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