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엔셀은 개발 중인 차세대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제 ‘EN001’의 듀센 근이영양증(DMD) 환자 대상 한 단회 정맥투여 임상 1상 결과 안전성 및 내약성을 확보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임상 결과는 국제 학술지 ‘임상 신경학(Journal of Clinical Neurology)’에 실렸다.
DMD는 진행성 근이영양증 중 가장 빈도가 높은 유전성 질환
삼영엠텍이 조선업 호황에 10년 만에 매출 1000억 원대 달성을 무난히 달성할 전망이다.
선박 엔진 제작에 필수적인 구조재, 조선기자재를 비롯해 전략 광물 철광석 소결 공정에 쓰이는 파레트카 수주가 증가하면서 3분기 누적 매출이 891억 원인 삼영엠텍은 잇따른 추가 수주로 수주잔고도 900억 원대로 진입했다.
13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삼영엠텍은
나이벡은 사렙타의 신약 파이프라인인 근육질환 치료제에 약물전달 플랫폼 ‘NIPEP-TPP’를 적용하기 위해 추가 물질이전계약(MTA)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또 기존에 체결한 근이양증 치료제 개발을 위한 MTA도 연장했다. 양사는 이번 추가 계약을 기점으로 공동연구 수준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해 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나이벡
이엔셀이 강세다. 세계최초 차세대 중간엽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삼성가의 투자도 부각되는 모습이다.
27일 오후 1시 55분 현재 이엔셀은 전 거래일 대비 16.33% 오른 2만6000원에 거래 중이다.
이엔셀은 뒤센근위축증(DMD)과 샤르코 마리투스(CMT) 등 전 세계에 치료제가 없는 난치성 희귀질환 신약을 개발하고 있는 회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및 신약 개발 전문기업 이엔셀이 코스닥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하고 본격적인 상장 절차에 들어갔다고 23일 밝혔다.
이엔셀의 공모주식 수는 총 156만6800주며 희망공모가 밴드는 1만3600~1만5300원, 공모 규모는 약 213억~240억 원이 될 전망이다. 최종 공모가가 확정되는 기관투자
지난해 7월 청구 후 9개월만…기술특례 상장 기술성 평가서 AA등급상장 가뭄 속 바이오기업 올해 1호…헬스케어 산업으로 확대하면 세 번째
세포·유전자치료제(CGT) 위탁개발생산(CDMO) 및 신약 개발 전문기업 이엔셀이 코스닥 상장 예비 심사에 통과했다. 바이오 기업 중에는 올해 처음, 헬스케어 분야 전체로 확대하면 세 번째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비엘이 해외 바이오 라이센싱 회사와 독자 플랫폼으로 개발중인 근 감소 치료신약 2종의 글로벌 라이센싱 양해각서 계약을 체결했다. 마일스톤 기준 총액은 1700억 원 규목다.
20일 비엘에 따르면 이번에 양해각서를 체결한 파이프라인은 ‘BLS-M22(뒤쉔병 치료제;DMD)’와 ‘BLS-M32(노인성 근감소증 치료제;Sarcopenia)’로 2종 모두 근
나이벡이 미국의 글로벌 제약사 ‘사렙타 테라퓨틱스(Sarepta Therapeutics Inc, 이하 사렙타)’와 약물전달 플랫폼 ‘NIPEP-TPP’ 적용을 위한 물질이전(MTA) 및 물질평가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MTA 체결로 나이벡의 약물전달플랫폼 기술이 유전자 치료제분야로 확대될 전망된다.
이번 계약에 따라 나이벡은 ‘NIPEP
세토피아는 30일 공시했던 디엠디테크놀로지(DMD TECHNOLOGY SDN BHD) 타법인 주식 출자증권 처분 결정 철회와 관련해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증권을 제 3자에게 후속 매각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는 추가적인 입장을 5일 밝혔다.
세토피아의 전 경영진은 2019년 차량 공유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디엠디테크놀로지 지분을 인수한 후 2020년 디
삼영엠텍이 국내 조선사들의 수주 잭팟 소식에 강세다. 삼영엠텍이 선박엔진 제작에 필수적인 구조재와 조선 기자재를 공급하면서 수주 확대에 반사이익을 볼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4일 오후 2시 12분 현재 삼영엠텍은 전 거래일 대비 9.25% 오른 4490원에 거래되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최근 3조1200억 원어치의 선박을 수주했다고 전
현대모비스, ‘HD 라이팅 시스템’ 개발헤드램프로 활용해 노면에 정보 표시미래차 특화 기술로 램프 경쟁력 강화
현대모비스가 주행 정보를 전방 노면에 표시해주는 차세대 헤드램프 개발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현대모비스가 개발한 ‘HD 라이팅 시스템’은 주행 정보를 글자나 도형으로 시각화하고 이를 노면에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운전
헬릭스미스는 3일(현지시간)부터 4일까지 미국 뉴욕과학아카테미(NYAS)가 주관으로 열린 통증 분야 최신지견 미팅(Advances in Pain Meeting)에 참석해 엔젠시스(VM202)의 당뇨병성 신경병증(DPN) 임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뉴욕과학아카데미는 1817년 설립돼 과학과 기술에서의 혁신을 알리는 유서 깊은 학술모임이다. 이번에 진행
헬릭스미스가 자회사 뉴로마이언을 청산하고 카텍셀의 지분 변경을 추진한다.
헬릭스미스는 지난해 유전자치료제 ‘엔젠시스(VM202)’에 연구·개발(R&D) 자원을 집중하고, 신규 분야 파이프라인에 자금 사용을 최소화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스핀오프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그해 5월 일부 R&D 프로젝트를 스핀오프해 자회사 뉴로마이언과 카텍셀을 설립했다. 뉴로마이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 전문기업 닥터노아바이오텍이 SK케미칼과 ‘AI 기반 신약개발 공동 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협약을 통해 양사는 닥터노아바이오텍이 보유한 AI플랫폼을 기반으로 상호 협력 및 공동 연구를 통해 차세대 신약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혁신 복합신약을 개발한다.
닥터노아바이오텍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신경계/근
마이더스AI가 계열회사 디엠디테크놀로지(DMD Technology SDN BHD.) 보유 지분 전량인 주식 1만9500주(지분율 19.5%)를 댁시인터내셔널에 매각한다고 6일 밝혔다. 디엠디에크놀로지 지분은 30억 원 가치로 평가됐다.
댁시인터내셔널은 양수도 계약이 완료될 때까지 미국 블루시너지(Blue Synergy corp) 주식 1만6800주(1
헬릭스미스가 일부 R&D 프로젝트를 떼어내 자회사를 설립하고 유전자치료제, 항암 신약 개발에 힘준다.
헬릭스미스는 14일 스핀오프를 통해 ‘뉴로마이언(Neuromyon)’과 ‘카텍셀(Cartexell)’을 설립했다고 밝혔다. 뉴로마이언은 주로 AAV(Adeno-Associated Virus, 아데노 부속 바이러스) 바이러스 백터를 사용해 유전자치료제를
바이오리더스는 세계 최대 근육질환 컨퍼런스인 ‘근위축증협회 임상·과학 컨퍼런스'(MDA)에서 이중 항원 발현 유산균을 이용한 새로운 근육질환 치료 기술에 대해 발표한다고 17일 밝혔다.
MDA는 매년 미국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근육질환 컨퍼런스로 올해 70주년을 맞이한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온라인 방식으로
디지캡이 자체 개발한 기술을 앞세워 해외 시장 확대에 나선다. 최근에는 세계 최대 가전ㆍIT 전시회인 'CES 2020'에서 차세대 방송 송출 솔루션을 소개해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 올해 창사 20주년을 맞이한 디지캡은 미국시장 진출을 토대로 글로벌 기업으로 발돋움하겠다는 구상이다.
Q. 디지캡의 대표 기술은?
- 디지캡은 디지털 콘텐츠 유통
바이오리더스는 개발 중인 '뒤센 근디스트로피(DMD)' 치료제(BLS-M22)의 비임상 결과를 미국 소아신경학회(CNS, Child Neurology Society)에서 포스터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
미국 소아신경학회 행사는 아동, 청소년의 신경 및 신경 발달 장애와 관련된 연구 결과물들을 공유하는 대표적인 전문의들의 행사로 매년 개최된다.
이와
바이오리더스는 개발 중인 뒤센 근디스트로피(DMD) 치료제(BLS-M22)의 비임상 결과를 미국 소아신경학회(CNS)에서 포스터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
매년 열리는 미국 소아신경학회 행사는 아동, 청소년의 신경 및 신경 발달 장애와 관련된 연구 결과물들을 공유하는 대표적인 전문의들 행사다. 올해로 48회째를 맞았으며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주에서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