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5/01/20150120113021_575195_501_219.jpg)
중국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2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시장 전망보다는 좋아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를 다소 줄일 전망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20일(현지시간) 지난해 전체 중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7.4%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중국 정부 목표인 7.5%를 밑돌고 지난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 그러나 중국의 지난해 GDP 성장률은 블룸버그통신 집계 전문가 예상치 7.3%를 웃돌았다.
연말 지표가 개선된 것이 GDP 성장률 호조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지난해 4분기 GDP 성장률은 전분기와 같은 7.3%로 시장 전망인 7.2%를 웃돌았다.
지난해 전체 고정자산 투자(농촌 제외) 증가율은 15.7%로, 지난해 1~11월의 15.8%에서 소폭 하락했다. 그러나 산업생산과 소매판매는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해 12월 산업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7.9% 증가해 전문가 예상치 7.4%와 전월의 7.2%를 크게 웃돌았다. 같은 기간 소매판매는 전년보다 11.9% 증가해 전월 증가율인 11.7%와 같을 것이라던 시장 전망을 뛰어넘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5/01/20150120113022_575197_500_231.jpg)
중국 인민은행이 지난해 11월 약 2년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하고 정부가 인프라 프로젝트 승인을 가속화하는 등 하반기 경기부양책을 펼친 것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경제가 견실한 회복세를 보인 것도 중국의 둔화 속도를 낮췄다는 평가다.
다리우스 코왈치크 크레디트아그리콜 애널리스트는 “중국 경제가 예상보다 좋은 모습으로 새해를 맞이하면서 시장이 안도의 한숨을 쉴 것”이라며 “이날 지표는 추가 부양책에 대한 필요를 낮춰지만 여전히 중국 정부는 리스크를 완화할 수 있는 여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 경제규모가 매우 커졌기 때문에 앞으로도 수년간 지금의 낮은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예를 들어 중국이 2015년에 7% 성장한다고 하면 양적인 측면에서는 수년 전 10% 성장한 것과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