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리 취임일성 “경제살리기에 온몸 바치겠다”

입력 2015-02-17 14: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4대개혁, 규제개혁 강력 추진… 공직엔 신상필벌 원칙 철저히”

이완구 신임 국무총리는 17일 “총리로서 무엇보다 먼저 경제 살리기에 온몸을 바치겠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통해 “지금 우리의 경제상황이 매우 엄중하다. 세계경제의 장기적 침체로 인해 중소기업인, 소상공인, 농어민을 비롯한 많은 국민이 생업의 현장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리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정부의 모든 역량을 최우선 집중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공공·노동·금융·교육 등 4대개혁과 규제개혁을 더욱 강력히 추진해 경제성장 동력을 확충하고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겠다”며 “박근혜 정부 3년차인 올해가 우리 경제의 도약을 이루는 결정적 시기라고 생각하며 경제 활성화로 국민의 어려움을 풀어가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이 총리는 “‘국민을 이기는 장사(壯士)는 없다’고 믿으며 국민의 마음, 국민의 입장에서 국민과의 소통에 열정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며 “소통과 통합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국회와의 소통과 관련해선 “여당과의 당정협의를 강화해 정책입안 단계에서부터 적극적으로 조율해가겠다”며 “여당의 원내대표로 일할 때 야당을 중요한 파트너로 생각하며 소통해온 경험을 살려 야당을 이기려하지 않는 정부가 되도록 하겠다”고 했다.

정부 내 소통을 두고는 “모든 부처가 칸막이를 없애고 한 팀이 돼야 한다”며 “이를 토대로 내각을 통할하는 총리로서 부처 간 정책을 적극 조정하고 조율해가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 총리는 공직기강 확립에 나서겠다는 뜻도 분명해 하면서 장·차관과 기관장의 솔선수범을 주문했다. 이 총리는 “공직개혁의 시작은 공직기강의 확립이라고 생각하고 신상필벌의 원칙을 철저히 지키겠다”며 “개인의 사사로운 이익을 위해 기강을 무너뜨리는 일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 공직기강을 확립하기 위해 총리에게 주어진 모든 권한을 행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 총리는 “제43대 국무총리로 취임하면서 개인적 영광과 기쁨에 앞서 국가와 국민에 대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저에게 소임을 맡겨주신 대통령님과 임명 동의를 해주신 국회의원님들, 성원해주신 국민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논의 재점화…올해는 바뀌나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320,000
    • +2.96%
    • 이더리움
    • 4,847,000
    • +1.98%
    • 비트코인 캐시
    • 555,500
    • +3.73%
    • 리플
    • 668
    • +0.45%
    • 솔라나
    • 206,100
    • +4.41%
    • 에이다
    • 553
    • +2.03%
    • 이오스
    • 812
    • +2.01%
    • 트론
    • 176
    • -0.56%
    • 스텔라루멘
    • 128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400
    • +3.09%
    • 체인링크
    • 20,070
    • +5.69%
    • 샌드박스
    • 466
    • +1.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