옐런 “‘인내심’ 버려도 금리인상 신중히”

입력 2015-02-25 01: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상원 은행위원회 출석...고용ㆍ부동산 여전히 불안, 통화정책 유연성 높일 것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이 24일(현지시간) 상원 은행위원회에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블룸버그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은 예상보다 비둘기파적이었다. 옐런 의장은 24일(현지시간) 상원 은행위원회에 출석해 통화정책에 대한 유연성을 높이고, 금리인상에 대한 잠재적인 시장의 반응을 고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옐런 의장은 증언을 앞두고 제출한 반기 통화정책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히고, 앞으로 최소한 2차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FOMC 성명에서 ‘금리인상에 인내심(patient)을 발휘하겠다’는 표현을 삭제하더라도 자동적으로 금리를 올리는 것은 아니라고 그는 덧붙였다.

옐런 의장은 경제 상황을 주시하면서 통화정책 정상화를 추진할 것이라며, 금리인상에 앞서 선제적 안내를 변경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고용시장과 부동산시장은 여전히 부진하다고 진단했다. 중국을 포함해 해외 경제도 불안한 상황이어서 미국 경제에 부담이 되고 있다고 그는 평가했다.

옐런 의장은 최근 유가 하락에 대해서는 수요 감소보다는 공급 증가에 따른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전문가들은 이날 옐런 의장의 발언은 예상보다 시장 친화적이었다는 반응을 내놨다.

에릭 그린 TD증권 리서치 헤드는 “옐런의 발언은 비둘기파적이었다”며 “균형적이었으며 신중했다. 핵심은 기존 입장에서 크게 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미셸 지라드 RBS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중요한 것은 FOMC 성명에서 ‘인내심’이라는 문구를 삭제하더라도 2차례의 회의에서 금리를 올리지 않겠다는 것”이라면서 “3월 FOMC에서의 ‘인내심’ 삭제와 6월 또는 9월 이후 금리인상 결정은 지표에 달려 있다”고 분석했다.

경제전문방송 CNBC는 물가 상승률이 연준의 목표인 연 2%에 근접하고 있다는 확신이 섰을 때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옐런 의장의 발언을 고려할 때, 오는 2016년까지 금리를 올리지 않을 가능성이 커졌다고 내다봤다.

일각에서는 연준이 오는 3월 FOMC에서 ‘인내심’이라는 표현을 삭제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크리슈나 구하 에버코어 애널리스트는 “옐런 의장은 ‘인내심’을 버릴 것임을 시사했다”며 “3월 FOMC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밝혔다.

블룸버그통신은 옐런 의장의 의회 출석 이후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2.07%로 1bp(1bp=0.01%P) 상승했다면서 채권시장은 연준의 금리인상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10년물 국채 가격은 이달 2.1% 하락했다. 이는 지난 2009년 12월 이후 월 기준 최대 낙폭이다.

이날 혼조세로 개장한 뉴욕증시는 오전 11시 현재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가 0.5% 오르는 등 주요 3대 지수가 모두 상승세를 나타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논의 재점화…올해는 바뀌나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246,000
    • +2.82%
    • 이더리움
    • 4,834,000
    • +1.68%
    • 비트코인 캐시
    • 552,000
    • +2.89%
    • 리플
    • 669
    • +0.45%
    • 솔라나
    • 206,000
    • +4.36%
    • 에이다
    • 552
    • +1.85%
    • 이오스
    • 813
    • +2.14%
    • 트론
    • 175
    • -1.13%
    • 스텔라루멘
    • 12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400
    • +2.92%
    • 체인링크
    • 20,130
    • +5.84%
    • 샌드박스
    • 467
    • +1.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