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반건설, PEF 등 금호산업 인수전 대거 참여…박삼구 회장 "의연하게 대처하라"

입력 2015-02-25 14:42 수정 2015-02-26 08: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호산업 인수전에 호반건설과 자베즈파트너스 등 사모투자펀드(PEF)들이 대거 참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산업계와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금호산업 인수의향서(LOI) 접수를 마감한 결과 호반건설을 비롯해 MBK펀드, IMM펀드 등 사모펀드들이 금호산업 인수전에 참여했다. 현재까지 알려진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곳은 호반건설을 비롯해 자베즈파트너스, MBK파트너스, IMM 등이다.

앞서 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크레디트스위스(CS)를 매각주관사로 선정하고서 출자전환을 통해 보유중인 금호산업 지분 57.5%의 매각에 착수했다. 금호산업은 금호그룹의 핵심 기업으로 아시아나항공 지분 30.1%를 가져 최대주주다. 아시아나항공은 금호터미널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금호터미널은 금호고속에 대한 우선매수권을 쥐고 있다. 다시말해 금호산업을 인수하면 고구마 줄기 엮듯 금호그룹 핵심계열사들이 따라오는 셈이다.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보유한 채권단 보유 주식 ‘50%+1주’에 대한 우선매수청구권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우선매수권을 활용하면 경영권 인수 기준인 과반 지분 획득이 가능하다. 박 이날 금호산업의 인수의향서 접수 마감을 앞두고 열린 임원회의에서 "우리가 인수 의지가 있으니 인수전에 대해 조급하게 생각할 게 없다"며 "의연하게 대처하자"고 밝혔다.

하지만 박 회장 입장에선 입찰자가 많을수록 경쟁도 치열해지고 인수금액이 상승해 부담으로 작용한다. 다만 박 회장의 인수 의지가 워낙 커 변수는 많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박 회장이 이날 임직원들에게 걱정할 게 없다는 뜻을 전한 가장 큰 이유다.

이날 인수전에 참여한 김상열 호반건설 회장의 복심(腹心)에도 시장의 관심이 뜨겁다. 시장이 김 회장의 복심에 관심을 집중하는 것은 그가 보유하고 있는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약 6000억원에 이르고 있기 때문이다. 호반건설은 2013년 말 개별 기준으로 약 400억원의 현금을 확보했다. 여기에 당장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금융상품과 매도가능증권 규모도 2543억원에 이른다. 단기대여금 2243억원도 보유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논의 재점화…올해는 바뀌나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256,000
    • +2.84%
    • 이더리움
    • 4,836,000
    • +1.66%
    • 비트코인 캐시
    • 552,000
    • +2.89%
    • 리플
    • 669
    • +0.6%
    • 솔라나
    • 205,900
    • +4.31%
    • 에이다
    • 552
    • +1.66%
    • 이오스
    • 812
    • +2.01%
    • 트론
    • 175
    • -0.57%
    • 스텔라루멘
    • 12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400
    • +2.92%
    • 체인링크
    • 20,130
    • +5.84%
    • 샌드박스
    • 467
    • +1.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