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아동 63%, 정부 지원 못 받아

입력 2015-03-09 08: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빈곤아동의 3명 중 2명은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나 차상위계층에 속하지 않아 정부의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복지포럼 최근호에 실린 ‘아동빈곤 현황과 정책방향’에 따르면 2013년 아동종합실태조사의 조사 대상 아동(0~18세) 3528가구를 분석한 결과 상대빈곤율은 10.62%였다.

상대빈곤율은 중위소득 50% 미만인 아동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 중위소득은 모든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줄을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뜻한다.

기초생활보장 수급가구이거나 차상위계층 지원을 받는 가구는 전체 아동가구의 4%뿐이었다.

사람 수로 따져보면 빈곤아동 수는 102만7833명이었다. 이 가운데 36.6%인 37만6485명은 기초생활보장이나 차상위 지원을 받는 반면 63.4%에 해당하는 65만1348명은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양부모 가구의 아동빈곤율은 3.22%였지만 한부모·조손 가구는 63.54%로 19배나 많았다. 한부모 가구는 소득원이 한명이고 양부모 가구보다 소득이 낮을 가능성이 높고, 조손 가구는 노인의 노동시장 참여 가능성이 낮은데다 임금도 높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대도시의 아동빈곤율은 11.72%로 농어촌(10.25%)이나 중소도시(7.33%)보다 높았다. 주양육자가 고용 상태에 있는 경우 아동빈곤율은 13.09%로 비고용 상태의 6.3%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아동이 어릴수록 빈곤율이 낮았다. 0~2세 아동이 있는 가구의 빈곤율은 6.61%, 3~5세는 7.29%, 6~8세는 8.65%, 9~11세는 9.70%, 12~17세는 11.48% 순이었다.

보고서는 아동의 연령이 낮을수록 빈곤율이 낮은 데에는 아동수당이나 보육료 지원 같은 현금지원이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정은희 부연구위원은 “사각지대에 있는 빈곤아동에 대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국민기초생활수급 대상자나 차상위계층 수급기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며 “빈곤 아동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아동 가구의 소득 증대 방안이나 현금 지원 확대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재명, '위증교사 1심 무죄'..."죽이는 정치 말고 살리는 정치 해야"
  • "여보! 부모님 폰에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해드려야겠어요" [경제한줌]
  • “서울 아니라고?” 10년간 전국 청약 경쟁률 1등 ‘여기’
  • 단독 ‘농심 3세' 신상열 상무, 전무로 승진...누나 신수정도 임원 직행
  • "9만9000달러는 찍었다"…비트코인, 10만 달러 앞두고 일시 횡보 [Bit코인]
  • 논란의 트럼프 2기 행정부 인선…막후 권력자는 당선인 아들
  • “명태균에 여론조사 뒷돈”…오세훈 서울시장 검찰 고발당해
  • "정우성, 오랜 연인있었다"…소속사는 사생활 일축
  • 오늘의 상승종목

  • 11.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230,000
    • -0.87%
    • 이더리움
    • 4,662,000
    • -1.81%
    • 비트코인 캐시
    • 703,500
    • -1.75%
    • 리플
    • 2,010
    • -0.74%
    • 솔라나
    • 347,200
    • -2.31%
    • 에이다
    • 1,428
    • -3.19%
    • 이오스
    • 1,132
    • -2.92%
    • 트론
    • 288
    • -4%
    • 스텔라루멘
    • 714
    • -9.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750
    • -5.44%
    • 체인링크
    • 24,820
    • +0.73%
    • 샌드박스
    • 1,057
    • +27.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