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의사의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대중약의 범위를 확대한다.
일본 후생노동성은 제약회사와 건강보험조합,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해 약국이나 편의점 등에서도 의사의 처방전 없이 손쉽게 살 수 있는 대중약의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7일 보도했다.
신문은 알레르기약과 위장약, 안약 등이 처방전 없이 시중에서 살 수 있는 대중약에 새롭게 추가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소비자 스스로가 알 수 있는 증상에 효과가 있는 약으로 용법도 내복약과 바르는 약 등 누구나 취급하기 쉬운 것을 감안한 것이다.
후생노동성은 대중약의 범위 확대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 전용 후보 약물을 선택할 시, 소비자와 건강보험조합의 의견을 수시로 반영하는 구조를 올해 안에 만든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는 개발능력이 있는 제약회사만 의료약에서 대중약으로의 전용을 신청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중약으로 전용하려면 개발비가 늘어나 제약사에 비용 부담이 된다. 이 때문에 의료약에서 대중약으로 전용하는 경우는 연간 10건 미만에 그쳤다.
이번에 정부가 대중약의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방침을 밝히면서 앞으로도 전용이 기대되는 약품에 대해선 제약사들이 적극적으로 개발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재정 상황이 악화해 의료비 지출을 줄이고자 대중약의 범위를 넓히도록 정부에 요구해온 건강보험조합은 이번 정부에 방침에 따라 의료약에서 대중약으로의 전용 신청 건수가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다.
건강보험조합연합회는 일본 약학회가 발표한 대중약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성분에 관한 보고서를 토대로, 위장약과 안약 등 6가지 의료약을 대중약으로 전용해달라고 요구할 계획이다. 이 6개 성분만 대중적으로 전환해도 보험 재정을 1500억 엔(약 1조4000억 원)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됐다.
일본은 의약품에서 차지하는 대중약의 비율이 10% 정도로 낮은 편이다. 반면 미국과 유럽은 전반적으로 20%가 넘는다. 국민 한사람 한사람이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는 ‘셀프 처방전’이 확대하면서 약제비 억제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