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여 동안 우리나라 중산층의 소득이 급격히 늘었지만 교육비와 주거비 부담도 커져 삶의 질은 나아지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9일 '우리나라 중산층 삶의 질 변화' 보고서에서 월 명목소득이 1990년과 비교해 연평균 6.7%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전세보증금 증가속도는 12.1% 늘어났다고 밝혔다.
중산층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기준대로 중위소득의 50∼150%에 속하는 계층으로 정의됐다.
우리나라 총인구에서 중산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현재 전체 1137만 가구 가운데 766만 가구로, 70.0%를 차지했다. 중산층 비중은 2005년 69.2%로 떨어지고서 줄곧 70% 선을 넘지 못하다가 9년 만에 70%대를 돌파했다.
비교 시점인 1990년의 중산층을 대표하는 특징은 4인 가구, 30대 후반 가구주, 고졸 가구주, 외벌이였다.
그러나 24년이 흐른 2014년의 특징은 3인 가구, 40대 후반 가구주, 대졸 가구주, 맞벌이로 변화했다.
1990년 81만6000원이던 중산층의 월 명목소득은 2014년 390만5000원으로 4.8배 수준으로 뛰었다.
연평균 6.7% 증가한 셈이다. 같은 기간에 저소득층의 월소득은 5.9%, 고소득층은 6.5%의 증가 폭을 보였다.
그러나 주거비, 교육비 부담이 더 커지고 여가, 의료·보건 소비가 위축되면서 중산층의 삶의 질은 오히려 후퇴한 것으로 평가됐다.
1990년∼2014년 중산층이 부담하는 전세보증금 증가 속도는 연평균 12.1%로 소득 증가율과 비교해 두 배 가까이 빨랐다.
가처분소득 대비 전세보증금 부담도 1.1배에서 3.2배로 가중됐다. 중산층 가구가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3.2년을 꼬박 모아야 전세보증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얘기다.
중산층 가계 지출에서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 13.4%에서 2014년 17.0%로 3.6%포인트 늘었다.
특히 가처분소득 대비 학원비 비중은 2000년 6.8%에서 2014년 10.2%로 늘어 소득 대비 비중과 증가 폭에서 사교육 참여율이 높은 고소득층(6.4%→8.6%)을 앞섰다.
반면에 오락·문화비 지출 비중은 1990년 5.9%에서 2014년 5.6%로 하락했다. 보건·의료비 지출 비중은 같은 기간 6.5%에서 변화가 없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전·월세 주택 공급 확대, 보증금 대출 여건 개선 등으로 중산층의 과도한 주거비 부담을 줄여주는 정책이 요구된다"며 "공교육 정상화로 중산층의 교육비 부담도 줄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