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하반기 기관투자자들의 자산배분 전략에 대한 증권가 분석이 나왔다.
김후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0일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국내외 기관투자자들의 자산배분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해외투자(Abroad) 및 주식자산(Equity) 비중은 늘고, 비용(Cost)은 절감하는 ‘ACE’ 전략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미국 연준의 연내 금리 인상이 가시화되면서 올 초부터 주요 기관투자자들은 채권 자산의 비중을 줄이고 있다”며 “미국의 경기회복과 유럽과 일본의 정책 기대감으로 주식과 대체투자 비중을 키우는 기관투자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네덜란드 공적연금(ABP)은 최근 2년간 채권과 선진주식 비중을 줄이고 신흥주식과 부동산 비중을 확대했다.
일본 공적연금(GPIF)은 정부정책의 변화로 주식자산을 늘린 경우다. 국내채권 비중을 60%에서 5%로 줄이고 국내주식과 해외주식의 투자 비중을 25%로 키웠다. 아베정부는 고령화로 보험료보다 보험금이 많아진 GPIF의 유지를 위해서 주식자산 투자 비중을 크게 늘리는 새로운 자산 배분안을 지난해 확정했다.
투자 지역 관련 전략에서는 기관투자자들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선진국 주식시장의 비중을 줄이고 신흥국 주식시장에 주목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시됐다. 김 연구원은 “신흥국 중에서는 제조업 경쟁력이 있는 아시아 국가 투자를 선호하는 추세”라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진했던 중국 증시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강세를 보인 것도 한 원인”이라고 풀이했다.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캐나다 연기금 CPPIB는 자국 주식비중을 줄이고 미국과 아시아, 일본 투자비중을 늘렸다. 신흥국 주식 비중은 2013년 말 7.7%에서 올해 1분기 말 8.6%로 늘었다. 특히 아시아 중견기업, 중국 공공기업 투자, 인도기업 등에 자금을 집행하고 있다.
국내 기관들도 해외 투자에 적극적이다. 국민연금은 2020년까지 해외 자산 비중을 30%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최근 5년간 연평균 수익률에서 해외주식은 8.8%, 해외채권 6.6%, 해외대체 9.7%로 국내주식 3.6%, 국내채권 5.6%, 국내대체 7.0%의 수익률 상회한다.
사학연금은 지난해 말 운용자산의 11.8% 수준이었던 해외투자를 올해 말 13.5%로 늘릴 예정이다. 공무원연금은 2019년까지 해외투자 비중을 19%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저금리 상황에서 기관들은 비용 절감에도 힘을 싣는 추세다. 김 연구원은 “다양한 자산의 투자가 집행되면서 위탁 운용사 수도 자연스럽게 늘어나는 경우가 많았다”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관투자자들은 운용시스템 효율화에 눈을 돌리게 됐다”고 말했다.
아부다비투자청은 2011년 20%에 불과했던 직접운용 비중이 2014년 35%까지 늘었다. 직접운용을 늘려서 비용 절감과 운용 경쟁력을 높이려는 시도다. 액티브 운용은 운용사의 노하우가 중요하기 때문에 패시브 투자를 직접운용으로 돌리는 것으로 추정된다.
캘리포니아 공무원 연금(CalPERS)은 복잡해진 자산 체계와 운용사 관리 시스템을 정비해 비용 절감을 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비용 대비 효율이 떨어진다고 판단한 헤지펀드 투자를 중지하기도 했다. 보수가 비싼 대체투자 부문은 운용사 집중화를 통해 보수를 절감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말 기준 CalPERS의 위탁 운용사는 212개로 향후 5년간 100개 수준으로 줄일 예정이다.
김 연구원은 “기관투자자들은 채권 금리 하락으로 채권자산의 투자를 줄일 수밖에 없었고 채권 대신 국내주식과 해외자산의 투자 비중을 적극적으로 늘리기 시작했다”며 “일반 개인투자자 역시 물가 상승률을 감안하면 은행 예금 등 안전자산에 투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 투자자도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산 배분 전략을 기관투자자들처럼 위험자산의 비중을 늘리는 방향으로 갈 수 밖에 없다”며 “그리스사태 등 리스크 요인으로 증시가 조정을 겪으면 국내주식(ETF 제외)펀드로 자금 유입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