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87% “통일되면 대북사업 추진”

입력 2015-08-10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상의, 500개사 조사… 희망사업 분야는 ‘북한 지하자원 개발’

국내기업 10곳 중 8곳은 통일후 대북사업을 추진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기업 500곳을 대상으로 대북사업 추진의향을 묻는 질문에 ‘적극 추진하겠다’는 응답이 30.8%였다. 또 ‘여건이 허용하는 한 추진할 것’이라는 답변은 56.4%로 전체 응답기업의 87.2%가 통일이 되면 북한사업에 나설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이 되더라도 대북사업을 안하겠다’는 응답은 12.8%에 그쳤다.

희망 사업분야로는 북한 지하자원 개발(28.4%)을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다. 이어 SOC건설(22.1%), 생산기지 조성(22.1%), 대륙연계 물류망 구축(18.7%), 북한 내수시장 개척(8.7%) 순이었다.

추진형태에 대해서는 직접 시설투자(37.1%), 위탁가공 의뢰(28.4%), 단순교역(25.2%), 합작 투자(6.9%) 등이었다.

대북사업을 펼칠 뜻을 갖고 있는 기업이 꼽은 투자 관심지역으로는 개성·해주 등 경기도 접경지역(42.3%)이 가장 많았다. 이어 평양·남포 등 북한 수도권지역(28.0%), 신의주·황금평 등 중국 접경지역(11.5%), 원산·금강산 등 강원도 인근지역(9.2%)이 뒤를 이었다.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다수 기업들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기업 중 65.1%는 통일에 대해 ‘공감하는 편’으로 나타났으며 28.2%는 ‘적극 공감’이라고 답했다. ‘공감하지 않는다’는 답변은 6.7%에 그쳤다.

통일이 필요한 이유로는 경제발전(61.2%)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안보위험 해소(16.5%), 민족 재결합(9.5%)과 이념갈등 완화(8.2%)가 그 뒤를 이었다.

김병연 서울대 교수(대한상의 자문위원)는 “남북관계가 꽉 막힌 상황에서 정부당국보다 민간차원에서 대화와 협력의 실마리를 찾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줄줄 새는 보험료…결국 가입자 '쥐어짜기' [멍든 실손개혁下]
  • 피겨 이해인 "미성년 성추행 사실 아냐…부모님 반대로 헤어진 후 다시 만나"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14:5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783,000
    • -1.21%
    • 이더리움
    • 4,749,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526,000
    • -1.22%
    • 리플
    • 657
    • -1.65%
    • 솔라나
    • 192,000
    • -0.52%
    • 에이다
    • 533
    • -2.74%
    • 이오스
    • 799
    • -1.24%
    • 트론
    • 173
    • +0%
    • 스텔라루멘
    • 126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950
    • -2.21%
    • 체인링크
    • 19,360
    • -3.01%
    • 샌드박스
    • 464
    • -1.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