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사망인구 중 81%가 만성질환 앓고 있어"

입력 2015-08-20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질병관리본부, 제5회 만성질환 예방관리 포럼 개최

국내 사망인구중 81%가 만성질환이 원인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만성질환의 현황을 공유하고 효과적인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21일 서울 가톨릭의대 의생명연구원에서 '제5차 만성질환 예방관리 포럼' 을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포럼에서는 질병관리본부를 비롯해 시도 및 시·군·구 사업 담당자, 유관기관 및 학계 등 약 400여 명이 참석해 국가 만성질환 예방관리 정책 방향과 해외 만성질환 관리사례를 소개한다.

특히 질병관리본부는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를 발간ㆍ배포해 우리나라의 만성질환 및 위험요인의 통계와 현안에 대해 공유할 예정이다.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만성질환의 질병 부담이 높은 상황으로, 만성질환은 전체 사망의 81%를 차지하며, 사망원인 상위 10위 중 7개(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당뇨병, 만성 하기도질환, 간질환, 고혈압성 질환)가 만성질환이다.

순환기계질환, 당뇨병, 만성 하기도질환, 암은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70%를 차지, 이들 주요 만성질환에 대한 관리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반면,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는 흡연, 음주, 신체활동, 식습관 등의 생활습관요인에 대한 관리는 미흡하거나 더욱 악화되고 있다.

특히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비만 등은 적절히 관리하면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의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치료율과 합병증 관리율 등이 여전히 낮은 상황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러한 만성질환의 현안을 알리고 올바른 예방관리 방법에 대한 대국민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만성질환 예방관리 캠페인을 추진하고, 일반 국민들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자료(인포그래픽)를 배포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만성질환에 대한 대국민용 자료를 순차적으로 제작할 예정이며, 9월 첫 주를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주간’으로 지정, 전국 지자체 및 민간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레드서클 합동 캠페인*을 시행한다.

또한 심뇌혈관질환, 당뇨병, 만성호흡기질환, 암의 4개 주요 만성질환을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만성질환 종합대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상추에 배추·무까지…식품업계, 널뛰는 가격에 불확실성 고조 [식탁 지배하는 이상기후]
  • 단독 한달 된 '실손24' 60만 명 가입…앱 청구 고작 0.3% 불과
  • 도쿄돔 대참사…대만, 일본 꺾고 '프리미어12' 우승
  • "결혼 두고 이견" 정우성ㆍ문가비 보도, 묘한 입장차
  • ‘특허증서’ 빼곡한 글로벌 1위 BYD 본사…자사 배터리로 ‘가격 경쟁력’ 확보
  • [식물 방통위] 정쟁 속 수년째 멈춤…여야 합의제 부처의 한계
  • 이재명 오늘 '위증교사' 선고...'고의성' 여부 따라 사법리스크 최고조
  • "9만9000달러는 찍었다"…비트코인, 10만 달러 앞두고 일시 횡보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11.25 14:2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264,000
    • -0.84%
    • 이더리움
    • 4,665,000
    • -1.77%
    • 비트코인 캐시
    • 705,500
    • -1.33%
    • 리플
    • 2,000
    • -1.72%
    • 솔라나
    • 349,500
    • -1.88%
    • 에이다
    • 1,437
    • -3.04%
    • 이오스
    • 1,150
    • -0.78%
    • 트론
    • 288
    • -3.36%
    • 스텔라루멘
    • 732
    • -11.0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5,150
    • -4.28%
    • 체인링크
    • 24,820
    • +0.2%
    • 샌드박스
    • 1,080
    • +2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