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소득이 늘어나도 꽁꽁 닫힌 지갑은 열리지 않고 있다. 지난해 평균소비성향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경기 불안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된 탓에 좀처럼 소비가 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가계동향’을 보면 지난해 평균소비성향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포인트 줄어든 71.9%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단위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최저치다. 100만원 중 71만9000원을 썼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가계 소득이 ‘찔끔’ 늘어난 탓이다. 지난해 월평균 소득은 437만3000원으로 1년 전에 비해 1.6% 증가했다. 물가상승을 제외한 실질증가율은 0.9% 증가하는데 그쳤다.
가구당 월평균 지출은 337만3000원으로 크게 둔화한 모습이다. 명목상 전년 대비 0.5% 증가했지만, 물가상승분을 감안한 실질 증가율은 0.2% 감소했다. 가계지출 중 소비지출(256만3000원) 역시 실질 소비지출은 0.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국제유가 하락으로 인해 교통비가 감소하고, 지난해 12월까지 기온이 온난해 주거용 연료비가 줄었다”며 “교육비와 통신비 등 절감이 소비지출 증가율을 낮춘 것”이라고 설명했다.
품목별 지출 동향을 보면 유가하락, 온화한 기후 등으로 연료비(-5.7%)는 감소했으나 월세가구 증가로 실제 주거비가 20.8% 크게 뛰었다. 주택매매 증가에 따라 주택유지 및 수선(16.0%)과 주거ㆍ수도ㆍ광열비가 증가 4.8% 증가해 27만7000원이었다.
담배가격 인상으로 담배반출량은 감소했으나 주류ㆍ담배 관련 지출은 18.8% 증가해 월평균 3만3000원을 기록했다.
정부의 개별소비세 인하 정책으로 자동차 구입이 크게 늘었지만, 휘발유 가격 하락으로 전체 교통비(-3.7%)는 줄어든 모습이다. 지난해 승용차 내수판매량은 1년전보다 10.4% 증가했다.
통신비는 단통법 효과와 알뜰폰 가입증가 등으로 1.7% 줄어 월평균 14만8000원을 기록했다. 교육비는 학생수 감소와 장학금 확대 등으로 0.4% 줄어 28만3000원이다.
지난해 연간 보건에 대한 지출은 월평균 17만4000원으로 전년 대비 3.6% 증가했다.
비소비지출은 월평균 81만원으로 전년 대비 0.7% 증가했다. 작년 주택거래량이 2006년 이후 최대를 기록하면서, 양도소득세 및 취등록세 등 비정상적인 조세가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연금(2.4%)과 사회보험료(3.7%)가 증가했고, 가계대출금리 하락으로 이자비용 부담은 5.9%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