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인은 자신의 사회경제적 기여로 ‘인구 증가’를 가장 높이 평가했다. 지역 주민은 귀농‧귀촌 증가로 인한 긍정적인 변화로 ‘농어촌 마을의 인구와 활력 유지’를 꼽았다.
농촌진흥청은 귀농・귀촌인의 안정적 농촌사회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년차 귀농・귀촌인 장기 추적 조사’를 농촌경제연구원과 함께 실시하고,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15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전국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귀농・귀촌인 1000명을 대상으로 우편조사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응답률은 81.4%(814명)였다. 또 귀농・귀촌인의 사회경제적 역할에 관한 지역주민 인식 조사는 2015년 8월 21일부터 9월 30일까지 전국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현지 통신원 2000명을 대상으로 우편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48.2%(964명)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귀농・귀촌인은 사회ㆍ경제적으로 어떤 기여를 했냐는 질문에 ‘인구 증가(56.8%)’를 가장 높이 평가했다. 다음으로 △농산물 부가가치 향상(36.5%) △지역사회 발전(36.2%) △도농교류 활성화(35.3%) △후계인력 확보(35.2%) △혁신과 변화(31.6%) △삶의 질 증진(31.4%) △교육환경 개선(29.5%) △마을공동체 회복(22.0%) 순으로 응답했다.
또 지역주민들은 귀농・귀촌인의 증가로 지역사회에 어떤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냐는 질문에 ‘농어촌 마을의 인구와 활력 유지(62.8%)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영농에 종사할 인력의 확보(27.9%) △일할 재능 있는 인재 확보(20.0%) △땅값 상승 등 주민 재산 증대(17.9%) △지역의 세금 수입 증대(6.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귀농・귀촌인의 증가로 부정적인 영향을 묻는 질문에는 ‘자기 주장을 너무 내세워 기존 주민과 갈등(37.4%)’이 발생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기존 주민과 격리된 생활로 위화감 조성(35.7%) △귀농・귀촌인의 불필요한 민원 증가(24.9%) △기존 주민들의 자존심과 자부심에 상처를 줌(14.9%) △땅값 상승으로 농사지을 농지 부족(14.6%) △지역공동체의식의 약화(14.3%) 등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들의 귀농‧귀촌인에 대한 태도 조사에서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호의적이었으며, 전체적으로 호의적인 편(25.7%), 부정적인 편(29.2%), 보통(45.1%) 순으로 응답했다. 연고가 없는 외부인이 마을로 귀농‧귀촌하는 것에 대해서는 찬성한다(53.9%)가 반대한다(14.0%)는 응답보다 높았다.
농촌진흥청 농촌환경자원과 최윤지 농업연구관은 “귀농・귀촌인이 농촌 사회의 활력소가 될 수 있도록 역할 확대 방안을 마련하고, 기존 주민과 어우러질 수 있는 문화 조성이 필요하다” 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