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19일 올해 경제성장률(GDP)과 소비자물가(CPI) 전망치를 당초 예측치보다 각각 0.2%포인트씩 내린 2.8%와 1.2%로 전망했다. 다만 내년 성장률은 3%대롤 회복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내년 성장률을 0.2%포인트 내리면서도 3.0%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CPI는 직전 전망과 같은 2.0%로 봤다.
성장 부문 하향조정과 관련해서는 세계경제성장률과 세계교역 신장률이 떨어지는 등 세계경제 부진을 이유로 들었다. 실제 올해와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각각 3.1%와 3.3%로 봤다. 이는 지난 1월 전망치보다 0.1%포인트씩 하향조정한 것이다. 세계교역 신장률도 기존 3.1%에서 2.9%로 내렸다. 내년 역시 당초 3.6%에서 3.5%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개별소비세 인하와 코리아블랙프라이데이 실시에 따라 올 1~2월 반사효과로 작용한 영향이다. 반면, 정부가 승용차 개별소비세를 재인하하고, 신규 우대 주택연금을 출시하는 등 정부의 소비대책도 계속되고 있다. 가계의 예비적 저축성향 증대, 원리금 상환 부담 확대 등에 따른 구조적 소비 제약요인도 상존하고 있다고 봤다.
설비투자는 올 0.9%에 그치며 크게 부진할 것으로 봤다. 이는 지난 1월 예측치 3.8%에서 대폭 하향조정된 것이다. 특히 올 상반기는 -1.1%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직전 예측치는 3.0%였다. 내년 또한 당초 4.2%에서 3.7%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대내외 경기여건의 불확실성이 높은 가운데 수출 부진이 이어지면서 기업의 투자계획이 축소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낮은 제조업 가동률과 높은 재고수준도 추가 설비확충을 제약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반면 디스플레이는 차세대 패널 증산 등으로, 자동차는 신차 출시와 스마트카 생산설비 확축 등으로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봤다.
상품수출과 수입은 올해 각각 0.8%, 0.4%로 예상했다. 내년에는 각각 2.7%와 2.6%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성장에 대한 지출부문별 기여도를 보면 내수가 수출을 크게 상회할 것으로 봤다. 올해 성장률(2.8%) 중 수출기여도는 0.1%, 내수 기여도는 2.7%를 예상했다.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교역조건이 개선되면서 국내소득(GDI) 증가율(3.5%)이 GDP 성장률(2.8%) 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CPI를 올 상반기 1.2%에서 1.0%로, 하반기 1.5에서 1.4%로 낮춰 잡으면서 한은의 설명책임은 올 하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의 중기물가 목표치는 2.0%로, 0.5%포인트를 6개월 이상 밑돌 경우 그리고 그 기간이 이후에도 지속될 경우 각각 설명책임을 이행한다고 밝힌바 있다.
경상수지는 흑자규모는 올해 960억달러, 내년 800억달러를 예측했다. 이는 직전 예측치보다 각각 20억달러씩 하향조정한 것이다.
GDP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도 지난해 7%대 후반에서 올해 7% 내외를 거쳐 2017년 5%대 중반으로 하락할 것으로 봤다.
한은 관계자는 “향후 성장경로의 상하방 리스크는 중립적인 것으로 평가한다. 물가경로도 상하방리스크가 혼재돼 있어 전체적으로 중립적인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은은 성장경로의 상방리스크로 주요국 경기부양과 유가 상승 등에 따른 세계경제 성장세 확대, 정부의 경기활성화 대책 등에 따른 소비와 투자심리 개선 등을 꼽았다. 하방리스크로는 중국 및 자원수출 신흥국 성장세 둔화 확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인한 경제심리 악화를 들었다.
물가의 경우 상방리스크는 비OPEC 국가들의 감산 및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등으로 인한 국제유가 급등, 기상여건 악화로 인한 농산물 및 국제곡물가격 급등 가능성 등을 꼽았다. 하방리스크로는 OPEC 산유국의 공급과잉 지속, 미국 및 OECD 국가들의 높은 원유재고 수준 등에 따른 국제유가 하락, 에너지 관련 공공요금 인하 가능성 등을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