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위원장은 이날 퇴임을 한달여 앞두고 가진 합동 기자간담회에서 금산분리 원칙의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다시 한 번 지적했다.
윤 위원장은 “어느 시대, 어느 나라나 자원은 유한하며 심지어 세계 최대 강국 미국도 매년 경상적자에 허덕이고 있다”며 “특히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자원의 합리적인 배분에 의해 경제의 성패가 갈릴 수 있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이어서 “현재 100대 기업의 잉여금은 약 360조에 달하고 있는데, 이러한 자금을 필요한 부문에 투자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사회적 동의가 이뤄진다면 산업자본의 금융 투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위원장은 금융산업은 하나의 서비스 산업으로 ‘돈, 사람, 인프라’에 의해 결정된다고 말했다. 특히 자본확충 없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없다는 것이 윤 위원장의 시각이다.
윤 위원장은 “우리나라 기업들이 전세계로 수출을 하고 있는 것처럼 금융도 전세계를 상대로 영업을 해야 할 때가 왔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자본확충을 통한 대형화가 필수”라고 지적했다.
윤 위원장은 또 “현재 7개 시중은행 중 외국인 지분이 50%가 넘지 않는 곳은 공적자금이 투입된 우리은행이 유일하다”며 “그러나 국내 산업자본은 역차별로 인해 현실적으로 우리금융을 인수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서 “자원배분의 문제뿐만 아니라 당면한 현실적인 문제 차원에서라도 금산분리 원칙은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우리나라처럼 금산분리 원칙이 타이트한 나라는 없다. 글로벌 스탠다드 등을 감안해서 총체적인 방안이 나와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자본이 금융에 투입될 때 ‘사금고화’ 등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산업자본의 금융자본에 대한 일방적인 지배는 은행법 등 각종 법에 제한이 돼 있다”고 말하며 “또 감독당국의 감독을 통해서도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윤 위원장은 또 국민연금이 우리금융, 외환은행 등을 전략적으로 인수하는 것에 대해 반대의견을 피력했다.
윤 위원장은 “국민연금이 주식쪽으로 관심을 돌리는 것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도 환영한다”며 “그러나 국민연금이 재무적 투자가 아닌 전략적 투자자로 나서 경영권 행사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국민연금도 자원배분 차원에서 봐야 한다”며 “국민연금은 현재 규모가 200조 넘는데 이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전문성과 독립성이 보장되는 운용기관이 나와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서 “이같은 전문성, 독립성이 아직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 특정 은행을 소유하게 됐을 때 누가 경영을 할 것이며, 전문성과 경쟁력이 확보될 것인지 의문”이라며 반대 의견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