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초고령 사회 대응하기 위해 한국과 일본이 공조해야 한다”
노부히로 마에다 닛세이기초연구소(NLI) 선임연구원은 26일 오후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2016 대한민국 CSR 국제콘퍼런스’에 참석해 이같이 밝히고 고령화 과제 해결을 위한 일본의 대안을 설명했다.
마에다 선임연구원은 ‘일본의 고령화 대응 트렌드’를 주제로 일본 내 다양한 고령화 정책들을 소개했다. 일본 사회의 고령화 비율은 1960년대 5.7%에서 1990년대 12%, 2015년 26%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은퇴연령도 1960년대 50~55세, 1994년 60세, 2004년 65세로 정년이 연장됐다. 하지만 마에다 연구원은 현재의 고령자를 예전보다 10살 정도는 젊게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본 내에서 65세의 노인 희망자에 한해 전원 다 일할 수 있는 기업은 72.5%에 달하며 70세 이상 직원이 일할 수 있는 기업은 20.1%에 이른다”라며 “65세 이후 제2의 커리어 체인지를 통해 인생을 풍요롭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시장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앞으로 전체 시장의 약 50%는 시니어 상품으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적으로 고령자의 인구는 6억명이지만 앞으로 2030년이 되면 10억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시장’이라는 관점에서 봤을 때 큰 시장이 거대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마에다 연구원은 “고령화가 어떤 것인지 기업 관계자가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고령화 사회의 과제가 어떤 것인지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이어 “여러개의 회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고령화 사회 개척을 위해 정책을 지원하고 있는 만큼 이와 관련한 서비스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일본에서는 시니어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이 진행되고 있다. 안전운전지원시스템이나 전동어시스트 자동차 등 이동이 원활하게 지원하는가 하면 자립생활, 보살핌, 가사지원 등 실생활에 유용한 정책도 제공한다. 특히 장수하면 할수록 이득을 얻는 생명보험 상품이 개발되는 등 기업과 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대응책을 내놓고 있다.
마에다 연구원은 “정년의 차이 등이 있지만 초고령 사회는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며 “한국과 일본 시장은 흡사하기 때문에 정보 교환을 통해 그 세계를 이끌 수 있는 해결책을 공조했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