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게이트에 이웃나라 일본에서도 자국 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새해가 2개월 남짓 남은 가운데 일본 은행들이 한국 정치, 경제의 불안한 상황에 따른 리스크를 경계하고 있다고 2일(현지시간)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와타나베 히로시 일본 국제통화연구소 이사장은 일본 경제의 내년 최대 난제를 ‘닭(CHICKEN)’에 비유했다. 즉 매우 불투명한 중국(China in Big Uncertainty), 긴장이 고조되는 중동(Heightening Tention in Middle East), 불평등(Inequality), 계속되는 저금리와 낮은 인플레이션(Continuing Low Interest Rate & Inflation), 남북한 위기(Koreans in Danger), 유럽의 해체(European Fragmentation), 글로벌 정치 지도력의 부재(No Global Political Leadership) 등 6가지로 정리한 것이다.
특히 이런 외부 충격 중에 한국 리스크가 새해를 기다리지 않고 갑자기 고조되고 있다고 신문은 강조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친구인 최순실에게 정부 문건을 건넨 문제로 인해 현 정권은 몹시 위태로운 상황이다. 또 북한 핵개발에 속수무책인 가운데 중국과의 관계도 순탄치 않아 정치도 경제도 삐그덕거리고 있다고 신문은 꼬집었다.
일본 내부에서는 한국이 중국으로 너무 기울어져 버렸기 때문에 최악의 경우에도 자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있다. 실제로 한국 국내총생산(GDP)의 절반을 수출이 차지하는 가운데 전체 수출에서 중국 비중은 26%에 이른다.
그러나 일본 시중은행 관계자들은 한국 경제가 무너지면 자국도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국제결제은행(BIS)이 집계한 해외 금융기관의 한국 채권 보유 현황에서 6월 말 기준 일본 은행들은 334억 달러(약 38조 원)로 홍콩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채권에서 채무를 뺀 순채권액은 266억 달러로 1위다.
일본 은행들은 메가뱅크를 중심으로 삼성전자와 포스코 등 한국 대기업들에 적극적으로 융자했으며 이는 유럽 은행들이 한국 채권 보유규모를 축소한 것과 정반대 움직임이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일본에서 대출을 받는 업체를 찾기 어렵다보니 해외진출을 서두르는 한국 기업의 왕성한 차입 수요에 부응한 것이다. 이렇게 쌓인 채권이 이제 짐이 되고 있는 셈이다.
한국은 경상수지 흑자가 GDP의 8%에 이르지만 금융기반이 약해 종종 자본유출 악몽에 시달려왔다. 해외 금융기관과의 관계에서도 채권보다 채무가 많다. 이것이 지난 8월 한일 재무장관 대화에서 한국 측이 통화스와프 부활을 제안한 배경이라고 신문은 설명했다.
일본 은행들이 채권을 회수하게 되면 한국 경제는 잠시도 버티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은행들도 막대한 타격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스스로 전기 플러그를 뽑는 일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신문은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