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우조선해양의 정상화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국책은행(KDB산업은행ㆍ한국수출입은행)이 주도하는 정상화 계획으로는 유동성 위기를 해결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 자금도 투입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7일 “대우조선해양이 현 상태로 갈 경우 독자생존이 어려울 수 있다”고 밝혔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4월 4400억 원, 7월 3000억 원, 11월 2000억 원 규모의 회사채 원금을 갚거나 만기 연장해야 한다. 이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회사는 소난골 드릴십 인도 협상을 진행 중이다. 소난골 협상이 지연되더라도 당장 유동성 위기에 몰리는 것은 아니다. 국책은행 지원금 4조2000억 원 가운데 아직 집행하지 않은 7000억 원이 남아 있다. 하지만 이 자금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4월 회사채 상환 전 유동성을 확보해야 고비를 넘길 수 있다”며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뒤 회사채 만기 상환 등 유동성 해결을 위한 여러 가지 대책이 3월에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시중은행 및 회사채 투자자에게도 손실분담을 요구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시중은행도 출자전환(채권을 주식으로 전환)에 나서고, 채권 비율대로 신규자금을 집행하는 것이다. 정부는 반드시 ‘채권단 공동관리(자율협약)’ 형식을 고집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정부 관계자는 “지금 대우조선해양에 가장 필요한 것은 ‘돈’(유동성)”이라며 “시중은행이 신규자금 집행을 거부하면 자율협약은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의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다양한 형식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기대선 결과가 대우조선의 운명을 결정지을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온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현 정부는 시중은행에 고통 분담을 요구할 처지가 못 된다”며 “결국 생존에 대한 최종 결정은 차기 정권의 몫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이동걸 산은 회장은 8일 오전 11시 여의도 본점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대우조선해양 생존 해법에 대해 언급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