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희경 새누리당 ‘IT 전문’ 국회의원, 주용완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기반본부장, 차영태 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보호R&D기술공유센터장 등 세 전문가에게 현재 한국 AI 산업의 현 위치와 앞으로의 전략에 대해 들어봤다.
◇국내 AI 생태계의 약점은 ‘데이터’와 ‘플랫폼’ = 인공지능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선 서로 다른 분야의 기술들이 만나 융합하고 시너지 효과를 내는 토대가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이런 기반 기술로 ‘플랫폼’과 ‘데이터’를 들면서 국내 AI 생태계의 약점이기도 하다고 지적했다. 차 센터장은 “아마존 알렉사 플랫폼 정도로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인간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준의 국내 플랫폼 기술은 없어서 선진국보다 많이 뒤떨어져 있다”면서 “플랫폼이라는 것은 응용 분야이고 데이터별로 달라지는 면이 있어 앞으로 우리도 할 수 있는 일이 많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주 본부장은 “AI의 핵심적인 기반 기술은 데이터, 컴퓨팅 파워, 알고리즘”이라며 “이 세 가지 측면에서의 적극적인 연구와 개발이 선행돼야 하고, ICT 대기업뿐만 아니라 전통산업 영역의 대기업들이 함께 중심이 되는 생태계 강화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AI 생태계 구축의 주춧돌은 ‘개방’과 ‘교육’ = 차 센터장은 데이터를 강조하면서 “스타트업 등 혁신 주체가 좋은 비즈니스 모델·아이디어를 갖고 필요한 데이터를 찾고 관련 기관에 요구하면 가능한 한 필요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개방적인 사회 분위기와 제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핵심은 소프트웨어 역량”이라고 말한 송 의원은 “소프트웨어 교육을 기초 교과과정에 반영해 모두가 소프트웨어를 가깝게 접할 수 있는 요건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교육을 통해 산발적으로 분화돼 있는 현재 소프트웨어 산업에의 투자를 상품으로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을 병행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AI 초기 산업 육성할 정부 정책은 = 정부의 대응 방향에 대해선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렸다. 주 본부장은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국가 차원의 전략을 수립하고 성장동력이 되도록 유도하는 조직이 필수”라고 말했다. 송 의원은 “미국, 중국, 일본 등 AI 선진국은 모두 국가 차원에서 일관된 정책 역량을 이끌어내고 있다”며 국내 유관 정부조직의 형태로 ‘혁신부총리제도(가칭)’를 제안하면서 “부총리 산하에 산업, 자원, 에너지, 통상, ICT 문화, 중소중견기업 등을 담당하는 개별 부처를 둬 범부처적으로 정책을 총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차 센터장은 “정부는 이미 인공지능 연구소도 만들었고 다양한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면서 “별도의 컨트롤타워를 다시 만드는 것보다는 이미 추진 중인 업무에 집중하고, 좋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제안하는 기업에 지원을 강화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