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통 43년을 맞은 서울 지하철이 전동차와 부대 시설 등의 안전이 우려되는 노후 시설로 끊임없는 사고를 겪고 있어 대대적인 개선 작업에 나선다. 서울시가 ‘정시성(定時性)’이라는 지하철 운영 패러다임에 종지부를 찍고, ‘안전’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키로 한 것이다.
서울시는 ‘안전’으로 전환되는 지하철 운영패러다임에 걸맞게 지하철 시설물ㆍ인력ㆍ시스템 전반에 걸쳐 안전기능을 보강하고, 사물인터넷(IoT) 등 ICT를 활용한 스마트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내용의 서울지하철 안전보강대책을 8일 발표했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이날 오전 11시 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총 8370억 원을 들여 2022년까지 2호선 460량, 3호선 150량 등 610량의 노후 전동차를 교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1∼4호선 전동차 1945량 가운데 60%에 달하는 1184량이 21년 이상 시민을 실어 나르고 있다. 이런 탓에 규정에 맞춰 정기적으로 안전 검사를 했어도 예상치 못한 고장이나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시는 이에 따라 2014년 12월 2호선 전동차 200량을 발주한 데 이어, 이달 214량을 추가로 발주한다. 또 내년부터는 2022년까지 2호선 46량과 3호선 150량을 더 들여오기로 했다.
다만, 1호선 64량은 2014∼2015년 리모델링을 마친 뒤 정밀진단을 한 결과 15년 연장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4∼8호선은 연차별로 정밀안전진단을 거쳐 교체 계획을 세울 방침이다.
신규 전동차에는 승강장안전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전동차가 승강장에 진출입하지 못하도록 자동 연동되는 ATO(Automatic Train Operation, 자동열차운전장치)시스템이 적용된다.
그 전까지는 1∼4호선에 무선주파수(RF) 방식 제어시스템을 우선 도입한다. RF 시스템은 마치 고속도로 하이패스 단말기처럼 무선 주파수로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승강장안전문이 열린 채로는 열차가 출발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계다.
시는 올해 1·3호선, 내년 연말 4호선 전동차에 RF 방식을 먼저 적용한다. 교체 계획이 정해진 2호선은 전동차 교체에 맞춰 ATO 시스템이 갖춰진 차량을 곧바로 도입한다.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하는 5∼8호선과 비교적 최근에 지어진 9호선에는 이미 ATO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전동차 뿐 아니라 개통 후 40여년이 경과된 1~4호선의 전차선로, 열차신호설비 등 7개 분야 21종의 노후시설도 2030년까지 총 2조2000억 원을 투입해 개량하고, 120개 노후역사 리모델링도 지속 추진한다.
전동차뿐 아니라 1∼4호선 전차선로, 열차신호설비 등 7개 분야 21종의 노후 시설도 2조2000억원을 쏟아부어 2030년까지 개량한다. 노후 역사 120곳도 리모델링한다.
노후시설 개량작업은 작년까지 전차선로(203km), 송배전설비(737km) 등 17종에 대해 실시했으며, 올해부터 2025년까지 분기기(283틀), 전선로(1960km) 등 19종 작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리모델링 비용은 1개역 당 250억 원으로 향후 추진할 45개 역사 리모델링에 총 1조1250억 원이라는 신규건설 수준의 막대한 재정이 소요되는 만큼 관계 법령에 따라 국비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다.
또한 장애고장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 등 승강편의시설도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부품의 교체주기를 정립하고, 정밀안전주기를 20년에서 15년으로 단축하는 등 안전관리체계를 강화한다
안전관리 인력도 대대적으로 확충한다. 안전관리인력을 역마다 2명씩 총 556명으로 확대하고, 지하철보안관 50명을 충원한다. 통합공사 출범에 따른 중복업무 인력 393명도 현장부서로 전환배치한다. 서비스중심의 역무실과 고객상담실을 ‘안전센터’로 개편해 안전관리부서로 운영한다.
사물인터넷(IoT) 등 ICT를 활용하여 안전강화를 비롯해 서비스 품질 및 운영효율을 증대하기 위한 ‘스마트안전지하철’ 마스터플랜도 이달 수립한다. 특히 안전강화를 위해 ▴지능형 CCTV ▴객차혼잡도 안내 ▴부정승차 자동단속시스템 등을 도입해 ‘스마트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윤준병 본부장은 “지하철 운영 전반에 걸쳐 ‘안전최우선’ 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용승객들의 안전에 대한 이해와 공감대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안전지하철을 뒷받침할 수 있는 안전투자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