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1분기도 지나지 않았지만 자동차 리콜 대수가 작년의 3분의 1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리콜이 느는 것도 문제지만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치명적 결함도 많아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20일 국토교통부와 교통안전공단 자동차리콜센터에 따르면 올 들어 이달 16일까지 자동차 리콜이 20만4909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전체 리콜 대수 62만4798대의 약 33%에 달한다. 지금 같은 추세대로라면 100만 대를 넘겼던 2015년보다 늘어날 전망이다. 최근 3년간 브랜드별 리콜 대수는 르노삼성이 44만 대로 가장 많았고 현대차(41만 대), 한국GM(31만 대), 기아차(15만 대), BMW(13만 대), 혼다ㆍ아우디폴크스바겐(7만 대) 순이었다.
자동차 리콜제도는 제작자 등이 제작ㆍ판매한 자동차가 안전기준에 적합하지 않거나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는 등의 결함이 있는 경우 그 사실을 공개하고 시정토록 하는 제도를 말한다.
자동차가 점차 전자장치로 작동하면서 특정 장치의 문제가 아닌 자동차 시스템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안전에 치명적인 위협을 주는 결함도 증가세다.
다카타 에어백이 대표적이다. 다카타 에어백은 작동 시 부품 일부가 파손되면서 금속 파편이 튀어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위험이 있어 전 세계적으로 리콜이 이뤄지고 있다.
국토부는 지난달 15일 BMW코리아에서 판매하고 있는 320i 등 17개 차종 1357대를 리콜했는데 다카타 에어백이 이유였다. 같은 달 24일에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에서 판매한 SLK350 등 9개 차종 승용차 284대와 혼다코리아에서 판매한 GL1800 이륜차 162대도 리콜됐다. 지난해 10월에는 국토부가 에어백 결함을 발견하고도 은폐한 의혹으로 현대자동차를 검찰에 고발하기도 했다. 현대차가 지난해 6월 생산한 싼타페 2360대의 ‘조수석 에어백 미작동 가능성’ 결함을 알고도 숨겼다는 것이다. 또 최근에 일부 자동차에서 주행 중 화재가 발생하거나 급발진해 사고가 나는 경우도 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늑장 리콜에 대한 과징금 조항을 신설하는 등 제도를 개선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