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정국이 펼쳐지면서 올해에도 어김없이 테마주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하지만 대선주자와 온갖 테마로 묶인 종목의 주가는 불쑥불쑥 고개를 내밀었다가 숨는 ‘두더지 게임’ 양상을 보이다 결국 개인투자자의 무덤으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거래소가 작년 9월부터 11월까지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한 정치(대선) 테마주 16개 종목을 분석한 결과, 평균 주가는 최고가 대비 3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종목이 단기간 급등락을 반복한 후 장기적으로 하락하는 흐름을 보인 것이다.
시장의 흐름과 상관없이 이들 테마주 16개 종목의 주가는 전체 지수 하락보다 고점 대비 최소 6.5%에서 최대 44.6%까지 더 강하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중 매매 손실이 발생한 위탁자의 99.6%가 비전문가인 개인투자자로, 계좌당 평균 손실 금액은 191만 원으로 조사됐다. 전체 주식시장에서 개인 투자자 비중이 65%인 데 반해 이들 테마주는 개인투자자의 비율이 90%대로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거래소 측은 “투자 규모와 관계 없이 정보력 부재 및 뇌동매매로 인해 정치 테마주에 투자한 개인투자자의 73%(계좌 수 기준)가 손실을 봤다”면서 “거래대금 5000만 원 이상의 고액 투자자의 손실 계좌 비율은 93%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과거 대선 정국에서도 대선 테마주는 단기 시세를 노리고 접근하는 투자자들에 의해 단기 급등과 하락을 반복하다 정치적 이슈가 소멸되면 장기 하락 추세로 이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2012년 대선에서 코스닥 시장에 상장됐던 A회사는 당시 정부가 추진했던 녹색성장 정책과 맞물려 전기차 테마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았으나, 대선 이후 이렇다 할 혜택 없이 실적이 악화해, 결국 상장폐지됐다.
이와 함께 테마를 형성하기 위해 특정 종목의 급등을 야기한 근거를 생성, 확산시키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노인용 기저귀를 생산하는 화장지제조업체를 ‘노인복지 테마주’로 추천했던 B씨는 거짓 풍문을 유포해 매매차익 50억 원을 챙긴 혐의로 검찰에 고발된 사례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기업실적 또는 객관적 전망과 관계 없이 단기 급등하며, 데이 트레이딩 비중 증가 등으로 투자 위험도가 상승하는 종목은 고위험을 수반할 수밖에 없다”고 단언했다. 이어 “합리적 근거에 의하지 않고 장내·외에 비상식적인 루머가 만연한 종목은 불공정 세력에 의한 ‘작전주’일 가능성이 높은 만큼, 테마의 근거가 합리적이지 않은 종목의 매매는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