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미세먼지는 경유차 탓? 제대로 된 통계부터

입력 2017-05-16 10:52 수정 2017-05-16 10: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예린 산업1부 기자

문재인 대통령 당선 이후 에너지 업계의 뜨거운 감자는 ‘경유세 인상’이다. 정부는 경유세 인상의 근거로 국립환경과학원의 ‘2013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를 꼽고 있다.

하지만 이 통계를 제대로 들여다보면 오히려 정부의 경유세 인상이 근거 없는 억지 논리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세먼지 배출 원인은 제조업 연소(39%) 비중이 가장 높다. 이어 비산먼지(16%), 건설기계(13%), 고기구이나 찜질방 숯가마 등의 생물성 연소(12%) 순이며, 차량 운행으로 인한 미세먼지 발생량은 10%에 불과하다.

더구나 차량 중 경유차만 미세먼지량이 나와 있고, 이마저도 정확성이 떨어진다. 해당 통계는 배출 원인별로 수치를 입력해 값을 구하는 방식인 ‘확산모델’ 방식으로 이뤄졌는데, 경유차만 일정 배출량을 입력하고 휘발유와 LPG, CNG는 아예 입력값을 0으로 넣는 식으로 진행됐다.

그러나 2009년 대한석유협회, 한국LPG협회, 한국도시가스협회 등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주관하에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휘발유와 경유, LPG, CNG 차량의 미세먼지 배출량은 미국과 유럽의 기준 연비 산출 방식인 CVS-75와 NEDC 평균으로 따졌을 경우 경유 0.0021g/㎞, LPG 0.0020g/㎞, 휘발유 0.0018g/㎞, CNG 0.0015g/㎞ 등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관계자는 “가솔린직분사(GDI) 엔진 휘발유 차량도 미세먼지 배출이 되는 것으로 나와 내년 통계부터는 포함할 것”이라며 “LPG 차량은 기계적으로 셀 수 있는 범위를 만족시키지 못해 제로로 처리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유럽, 미국 등 해외에서는 노후 경유차와 함께 GDI 엔진의 차가 디젤매연저감장치(DPF)를 단 경유차보다 미세먼지를 더 내뿜는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왔다. 그러나 환경부는 2015년에서야 GDI 엔진 차량의 미세먼지 배출량 조사를 시작했다.

정부는 제대로 된 통계조차 만들지 못한 상황에서 경유 차량만 겨냥한 마녀사냥식 대책을 추진해선 안 된다. ‘졸속(拙速) 행정’이라는 평가를 듣지 않기 위해서는 정확한 통계를 통한 발생 원인 파악이 먼저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진스, 진짜 위약금 안 내도 될까? [해시태그]
  • ‘닥터둠’ 루비니 경고…“부의 보존 원한다면 비트코인 피해야”
  • 고양 소노 감독 폭행 사건 결론…KBL "김승기 자격정지 2년"
  • 딸기 폭탄→대관람차까지…크리스마스 케이크도 '가심비'가 유행입니다 [솔드아웃]
  • 차기 우리은행장에 정진완 중소기업 부행장…'조직 쇄신ㆍ세대 교체' 방점
  • 동물병원 댕댕이 처방 약, 나도 병원서 처방받은 약?
  • “해 바뀌기 전 올리자”…식음료업계, 너도나도 연말 가격인상, 왜?!
  • 고딩엄빠에서 이혼숙려캠프까지…'7남매 부부' 아이들 현실 모습
  • 오늘의 상승종목

  • 11.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325,000
    • -1.12%
    • 이더리움
    • 5,111,000
    • +2.14%
    • 비트코인 캐시
    • 737,000
    • +2.93%
    • 리플
    • 2,594
    • +8.17%
    • 솔라나
    • 333,000
    • -1.3%
    • 에이다
    • 1,506
    • +1.21%
    • 이오스
    • 1,327
    • +9.58%
    • 트론
    • 286
    • +0.35%
    • 스텔라루멘
    • 730
    • -0.9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9,250
    • +0.56%
    • 체인링크
    • 26,320
    • +4.94%
    • 샌드박스
    • 939
    • +4.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