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제기돼온 미래창조과학부의 혁신이 본격화된다. 정부조직 개편안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통신부)'로 명칭을 변경하고 차관급인 과학기술혁신본부가 신설된다. 최순실 게이트와 연루된 폐해 청산이 숙제로 남았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식을 갖는다. 약칭은 '과기정통부'로 확정됐다. 과기정통부는 부처 명칭 변경에 맞춰 장·차관 등 간부와 노조·직원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날 오후 정부과천청사 5동 현관에서 현판 제막식을 열 예정이다.
미래부 영문 명칭은 기존의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이었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Ministry of Science and ICT'로 간소화했다. 영문 약칭도 'MSIP'에서 'MSIT'로 바뀐다.
과기정통부의 숙제는 과거 정권 국정농단 폐해에 연루된 흔적 지우기다. 나아가 연구자 중심의 과학기술정책을 포함해 기초연구 지원, 성과평가 강화 등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미래부에 있던 실장급 과학기술전략본부가 차관급으로 격상된다. 과기통신부에 신설되는 '과학기술혁신본부'는 과기통신부뿐 아니라 범부처의 과학기술을 컨트롤할 수 있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과학기술혁신본부가 맡은 정부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평가 강화를 위해 성과평가정책국 및 평가심사과가 신설된다. 이로써 과기통신부는 정부 부처 가운데 이례적으로 3차관 체제를 유지하게 됐다.
최순실 게이트 이후 부처 해체까지 거론됐던 미래부는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오히려 기능이 커지고 권한이 강화됐다. 나아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정부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맡게된 셈이다.
유영민 장관 역시 취임 직후부터 '체질 개선'에 나섰다. 조직문화 혁신 회의체인 '제1기 주니어보드' 출범 간담회를 주재하며 직원들과 소통에 나섰다. 이는 자유로운 토론을 통해 미래부의 조직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회의체다
과학기술 비(非)전문가라는 꼬리표를 떼기 위한 행보도 시작했다. 장관의 첫 번째 정책현장 점검 대상으로 과학기술원을 찾아 현장 연구원들을 직접 만나기도 했다.
반대로 과거 정권의 폐해는 서둘러 걷어냈다. 창조경제추진단이 해체된 만큼 이곳에 파견된 미래부 공무원들도 되돌아왔다.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창조경제기획국이 맡던 창조경제 진흥 업무(정원 50명) 역시 이날 출범하는 '중소기업벤처부'로 이관되면서 과기정통부에서 빠져나간다. 부처 전체 정원은 816명에서 777명으로 39명 줄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