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기존 유통채널의 성장이 정체한 가운데 신성장동력으로 점찍어 육성하던 복합쇼핑몰에 정부가 제동을 걸고 나서면서 유통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골목상권 보호 등으로 기존 사업 환경이 악화하는 가운데 새로운 성장 모델까지 규제 대상에 포함되면서 유통사업 전반의 침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청와대는 지난달 ‘국정운영 5개년 계획 100대 국정과제’에 2018년부터 복합쇼핑몰도 대형마트 수준으로 영업을 제한하겠다고 제시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복합쇼핑몰과 관련해 △도시계획 단계에서부터 입지 제한 △오전 0~10시 영업시간 제한 △매월 공휴일 중 2일 의무 휴무일 지정 등의 공약을 내놓기도 했다. 국회에는 복합쇼핑몰 등 대형 쇼핑시설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여러 법안도 발의돼 있다.
정부는 아직 복합쇼핑몰 규제와 관련해 구체적인 방안은 내놓지 않았지만 대형마트 수준의 규제 방침에 대해 밝힌 만큼 내년부터 롯데월드몰, 스타필드 등 복합쇼핑몰은 격주로 주말에 문을 닫아야 할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정치권이 복합쇼핑몰을 규제 대상으로 보는 것은 전통시장과 중소 상인들을 보호하려는 목적에서다. 실제 중소기업중앙회가 최근 서울 은평, 하남, 판교 4곳의 복합쇼핑몰 주변 소상공인 400명을 대상으로 상권 영향 실태를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소상공인 중 66.3%는 복합쇼핑몰 진출 후 매출과 고객이 줄면서 점포 경영이 악화했다고 응답했다. 일부 지역 소상공인들은 복합쇼핑몰 진출 3년 후 월평균 매출액이 진출 전보다 29.1% 줄었다.
정부 규제가 가시화되면서 유통업계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현재 운영 중인 복합쇼핑몰이나 신규 출점 계획에 차질을 빚게 된다. 복합쇼핑몰이 문화와 여가 공간으로 주목받는 상황에서 주말에 문을 닫는다면 매출에 직격탄이 될 수밖에 없다. 또 기존 채널의 부진을 타개하는 한편 새로운 성장 모델에 대한 고민도 다시 시작해야 한다. 최근 5년간 국내 백화점 매출은 경기침체와 소비 트렌드 변화로 30조 원을 넘지 못했다. 대형마트 성장률은 1%대 전후에 불과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요즘 소비자들은 외식과 문화생활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체험형 공간을 찾는 추세여서 복합쇼핑몰이 의무 휴업을 하게 된다면 타격이 클 것”이라며 “정부 방침과 법 개정 등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복합쇼핑몰 규제가 시행됐을 때 과연 효과가 있을지 의문시된다. 앞서 영업시간을 규제한 대형마트의 경우 지난 5년 동안 매출이 21% 줄어들었지만, 중소상인의 매출도 13%가량 같이 감소했다는 조사 결과도 나와 있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대형마트를 규제해서 전통시장 상권이 살아나지 않았다는 사실을 정부와 정치권은 직시할 필요가 있다”며 “일방적인 복합쇼핑몰 규제보다 진정으로 상생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을 찾는 것이 맞을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