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투자협회와 증권사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시킨 공동인증체계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해 새 변화를 예고했다. 세계 10대 혁신기술로 손꼽히는 블록체인 기술은 편리성과 효율성 등 다수 장점을 갖고 있지만 보안 문제와 관련해선 우려섞인 눈길도 받고 있다.
증권업계는 31일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공동인증 서비스인 ‘체인(Chain) ID’ 서비스를 선보였다. 기존에는 국가가 공인하는 공인인증서와 개별 금융기관 사설인증서만 존재했으나 이번 시도로 금투업권 공동인증서가 추가됐다.
협회 측은 체인 ID를 이용시 고객의 편의성이 높아진다는 입장이다. 공인인증서를 개별 금융기관별로 발급받지 않아도 돼 등록절차가 간소화되고 유효기간도 기존 1년에서 3년으로 늘어난다. 또 생체인증과 PIN, 복잡한 비밀번호 등 2개 이상의 인증방식을 결합시켜 보안성도 강화했다.
이번 서비스 오픈과 함께 동시에 적용하는 1차 참여 증권사만 11곳에 달해 파급효과도 클 전망이다. 대신증권, 메리츠종금증권, 신한금융투자, KB증권, 키움증권, 하나금융투자 등 10대 증권사들이 주를 이룬다. 가령 현재 대신증권은 모바일트레이딩서비스(MTS) 시세조회 전용 로그인 때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고 있으며 차후 홈트레이딩서비스(HTS)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블록체인 컨소시엄 소속 증권사가 이보다 많은 26곳이기 때문에 미래에셋대우 등 누락 증권사들의 2차 참여도 기대된다. 은행과 카드사 등 타 금융업권 관계자들 역시 금융투자업계의 행보를 주목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다만, 블록체인 기술 보안성에 대한 사회적 의구심은 여전하다. 블록체인 기술의 대표 영역인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해킹으로 고객정보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사고 책임 우려가 불거졌기 때문이다.
천창민 자본시장연구원 금융법제팀장은 “공인인증체계는 개인이 국가로부터 공인을 받았기 때문에 금융사고 발생 시 금융기관의 사고 입증 책임이 더 작다”며 “사설인증체계에서는 해당 인증서를 발급한 금융기관의 책임이 커 금융소비자가 더 보호받게 된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