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이번 달 들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은행 대출금리의 산정 기준이 되는 금융채 금리가 하락한 데다 정부가 가산금리를 과도하게 올리는 것을 억제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은행이 이달 말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앞두고 기준금리 인상을 알리는 ‘시그널’을 보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한국 주택시장의 주요 악재 중 하나로 꼽히던 금리 인상은 시간문제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금리 상승기에는 10년 이상 장기대출의 경우 고정금리로 갈아타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라고 조언한다.
15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 혼합형(5년간 고정금리, 이후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전주보다 최고 0.423%포인트 떨어졌다. 하나은행 주택담보대출 가이드 금리는 13일 기준으로 연 3.719∼4.719%가 적용된다. 1주일 전엔 연 3.922∼5.142%를 기록, 5대 은행 중 유일하게 5%대였다.
최근까지 은행권 대출금리가 올랐던 것은 대출금리 산정 기준인 금융채와 코픽스(COFIX) 등 시장금리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선반영하면서 상승했기 때문이다. 은행들은 시장금리에다 가산금리를 더하고 우대금리를 감안해 최종 대출금리를 산정한다. 최근 대출금리가 하락세를 보인 것은 금융당국이 과도하게 가산금리를 올리지 않도록 은행권 모니터링을 강화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금융당국은 금리 상승기 고정금리 대출을 고객에게 권유할 것을 은행권에 요청하기도 했다.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달 27일 열린 ‘은행권 가계대출 동향 점검회의’에 참석, “은행 직원들이 상담 과정에서 고객에게 보다 유리한 고정금리 대출 상품을 권유할 수 있도록 일선 현장까지 관리해야 한다”며 “당국은 필요시 고정금리 대출비중 목표를 높이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제는 이번 달 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을 현실화하면 대출 금리 인상 폭이 더욱 커질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대출자 입장에서는 기존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변동금리였다면 고정금리로 전환하는 것을 고려할 만하다. 주담대 보유자의 상당수(약 70%)는 변동금리형 상품을 보유하고 있다. 고정금리형 상품보다 변동금리형 상품이 금리가 0.5%포인트가량 낮기 때문이다.
하지만 빠른 속도로 대출금리가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는 고정금리가 부담이 덜하다. 통상 대출 기간이 5년 이내인 대출은 변동금리를, 10년 이상 장기 대출은 고정금리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시 말해 현재 변동금리가 고정금리보다 낮은 만큼 2~3년 내 갚을 수 있는 대출이라면 변동금리가 유리할 수 있다. 하지만 금리 상승기 변동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게 되면 고정금리를 선택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대다수 은행들은 가입 3년이 안 된 변동금리 주담대 차주가 고정금리형 주담대로 전환하는 것에 중도상환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고 있다. 이번 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을 보고, 그 여부와 폭을 가늠한 뒤 갈아타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부채 상환이 부담되는 차주들은 금리인하를 요구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은행, 저축은행, 보험사, 카드사 등 전 금융권의 차주들은 본인의 신용등급이 올랐거나 상환능력이 개선됐을 때 대출금리를 내려 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