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WC 2018]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 "이재용 부회장 나와서 마음 편해"

입력 2018-02-27 08: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삼성전자)
(사진제공=삼성전자)
"한결 마음이 편합니다."

고동진<사진> 삼성전자 사장은 갤럭시S9 언팩 행사 다음날인 26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재용 부회장 석방에 대한 감회를 밝혔다.

고 사장은 "이 부회장은 그 일이 있기 전에도 IM부문에 많은 지원을 해주셨다"며 "전문경영인이 만나서 딜을 할 수 없는 거래선 책임자들이 꽤 있는데, 직접 (이 부회장이) 만나서 필요한 도움을 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들 잘 아시다시피 부회장께서 사업적인 부문에 대해 깊숙이 관여하지는 않고, 각 사업부장들 중심으로 돌아갔다"며 "지금 나오신지 얼마 안됐는데, 그걸로 상당히 마음이 편하다"고 했다.

고동진 사장은 1년 전 삼성 사장단 회의가 중단된 데 대해서도 아쉬움을 나타냈다. 삼성은 지난해 2월말 그룹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던 미래전략실을 해체하면서, 매주 수요일 열리던 계열사 사장단회의 역시 중단한 바 있다.

고동진 사장은 "무선사업부의 경우 디스플레이, 메모리, 배터리 등 많은 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SDI, 전기, 디스플레이, SDS 등 계열사와의 관계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며 "사장단 회의가 없어진 데 대한 아쉬움이 컸다"고 했다. 이어 "이를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해 공식 모임은 아니지만, 전자 계열사 사장들과 모임을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 사장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중요한 인도와 중국 시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에 대해서도 의견을 내놨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인도 시장에서 샤오미가 수량기준 시장점유율 25%로 삼성전자(23%)로 누르고 1위에 올랐다. 고 사장은 "금액 기준으로 보면 우리가 여전히 1위고, 지난해 전체로 보면 압도적인 1위"라며 "인도 시장은 우리가 오랜 시간동안 공 들인 곳이라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중국 시장에 대해선 "작년 5월에 리더를 바꾸고 9월 현지 판매 조직을 축소해서 의사결정을 빨리할 수 있게 했다"며 "변화를 준 지 1년도 안됐기 때문에 스스로가 절대 조급하지 않으려고 항상 다짐 한다. 조금만 더 지켜봐달라"고 했다.

전날 공개한 갤럭시S9 시리즈 판매를 위해 체험 마케팅을 확대할 계획도 밝혔다. 고 사장은 "갤럭시S7을 출시했을 때, S6와 뭐가 바뀌었는지 의아해하던 소비자들이 있었는데, 실제로 체험해본 후 평가가 많이 달라졌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갤럭시S8도 직접 만져보면 작은 차이지만 각고의 노력이 있었다는 것을 알 것"이라며 "체험 마케팅을 국내는 물론 글로벌에서 대대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고 사장은 갤럭시S 10주년 기념작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갤럭시S란 명칭 변경 가능성에 대해 "갤럭시라는 자체에 대한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며 "텐(갤럭시S10)은 고민을 했는데 크게 오랜 시간은 걸리지 않을 것 같다. 내부적으로 방향이 잡히면 또 얘기를 나누는 자리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테더 공급량 감소에 '유동성 축소' 위기…FTX, 채권 상환 초읽기 外 [글로벌 코인마켓]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000,000
    • -0.62%
    • 이더리움
    • 4,775,000
    • +0.36%
    • 비트코인 캐시
    • 530,000
    • -0.09%
    • 리플
    • 661
    • -0.9%
    • 솔라나
    • 193,500
    • +0.52%
    • 에이다
    • 535
    • -2.37%
    • 이오스
    • 815
    • +0.37%
    • 트론
    • 173
    • -1.14%
    • 스텔라루멘
    • 126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150
    • -1.89%
    • 체인링크
    • 19,560
    • -1.21%
    • 샌드박스
    • 469
    • -0.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