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기차, 스마트폰 배터리의 핵심 원자재인 코발트 확보 경쟁이 더욱 심화할 전망이다. 우리나라 광물자원 수입의존도는 93.4%(금속광물 99.6%)로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정부는 뚜렷한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
19일 광물자원공사와 세계 코발트 수요 전망에 따르면 코발트 수요는 2025년 26만4000톤으로 2016년 대비 수요가 2.4배 증가할 전망이다.
수요 대비 제한적 공급으로 인해 올해부터 공급 부족이 심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2차전지 산업의 발전과 함께 높은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광물인 코발트는 전 세계 생산량의 50%를 콩고에서 생산하며 중국 기업들의 콩고 광산 인수 등으로 공급 불안정성이 상존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코발트 수요가 2025년엔 4만8000톤(연평균 13.2% 증가)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우리나라 코발트 수입은 2016년 기준 1만3000톤으로 2007년 이후 연평균 12.3%씩 증가했다. 현재 코발트는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중국(58%), 벨기에(19%), 핀란드(11%) 등 특정 국가 수입의존도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수급 불균형으로 인해 코발트 가격은 2016년 톤당 2만5655달러에서 2017년 8월 5만8214달러로 2배 가까이 뛰었다.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이 전 세계적으로 부각되는 가운데 2차전지의 주원료인 코발트의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 시 국가 경쟁력 하락은 물론, 현재 추진 중인 4차 산업혁명 관련 국내 산업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입을 모았다.
공기업 주도의 해외자원 개발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핵심 광물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산업연구원(KIET)은 18일 ‘국내 2차전지 산업 현황과 발전과제’ 보고서에서 “리튬, 코발트, 니켈, 망간 등 광물 소재의 국제 가격이 급등해 국내 배터리업계의 원재료 조달에 비상이 걸렸다”며 “배터리 시장은 급격하게 커지고 있는데 관련 핵심 광물 소재 공급은 한정돼 있고, 정부는 과거 자원외교의 부작용 때문에 소극적으로 정책 대응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정이 이렇지만 정부는 뚜렷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해외자원 개발 사업으로 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한국광물자원공사를 폐지하고 유관 기관과 통합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한국광물자원공사는 “국가 차원의 해외자원 개발을 절대 포기해서는 안 된다”며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민간의 광물 단기 수급 해소, 희유금속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도시 광산 사업화 등을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