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포스코에너지, 연료전지 매각 실패...청산수순 밟나

입력 2018-03-22 10: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16년부터 주관사 통해 매각 시도..인수후보들 기술력 문제로 거절

포스코에너지가 이명박 정부 시절 저탄소 녹생성장 정책에 맞춰 사업을 확장한 연료전지 부문 매각에 실패했다. 포스코에너지가 지속적인 실적 악화를 겪는 연료전지 사업을 청산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2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에너지는 2016년 부터 매각주관사로 삼성증권, JP모건을 선정해 연료전지 사업 매각을 추진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매각주관사는 복수의 기업, 사모펀드(PEF) 운용사들과 접촉했다. 그러나 이들 후보들은 포스코에너지 연료전지 사업의 기술력 문제와 라이선스 부재 등을 이유로 인수 제의를 거절했다.

포스코에너지 연료전지 사업 인수 제안을 받았던 IB업계 관계자는 “스택(셀을 모아 만든 장치)의 수명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추가로 들어가야 할 비용을 가늠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포스코에너지는 최근 연료전지 사업의 외부 매각을 중단하고 향후 처리 방안을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인적 분할한 뒤 포스코그룹 내의 다른 사업과 통합하는 방식도 거론된다. 이 경우 사실상 청산 수순을 밟게 될 가능성이 높다.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연료전지 사업은 정부 정책에 따라 주춤하거나 어려워질 때도 있다” 며 “하지만 내부적으로 품질 개선을 지속하고 있고 매각할 계획도 없다”고 말했다.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 사업 실적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해당 사업은 2016년 매출액 1497억 원, 영업손실 924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2017년에는 매출액 699억 원, 영업손실 644억 원의 실적을 올렸다. 최근 5년 중 포스코에너지의 연료전지 사업이 영업흑자를 낸 적은 2013년 103억 원 한 번 뿐이다.

포스코에너지 연료전지의 서비스용역 부담 비용도 증가 추세다. 서비스용역이란 수리 교체에 들어가는 비용을 뜻한다. 이 회사 재무제표에 따르면 연료전지 서비스용역 예상 비용을 충당부채로 설정한 규모는 2016년 말 1129억 원에서 2017년 말 1820억 원으로 이 기간 동안 61.2% 늘었다.

포스코에너지는 2007년 미국 퓨얼셀에너지에 2900만 달러를 출자하면서 연료전지 사업에 뛰어들었다. 이후 이명박 전 대통령 직속이었던 녹색성장위원회의 ‘녹색뉴딜’ 정책에 따라 사업을 확장했다. 2011년 3월 진행된 포스코에너지 스택 공장 준공식에는 당시 박영준 지식경제부 차관과 정준양 포스코 회장 등이 참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테더 공급량 감소에 '유동성 축소' 위기…FTX, 채권 상환 초읽기 外 [글로벌 코인마켓]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043,000
    • -0.33%
    • 이더리움
    • 4,774,000
    • +0.46%
    • 비트코인 캐시
    • 527,000
    • -0.66%
    • 리플
    • 660
    • -0.6%
    • 솔라나
    • 194,900
    • +1.25%
    • 에이다
    • 534
    • -2.38%
    • 이오스
    • 818
    • +0.62%
    • 트론
    • 174
    • -1.14%
    • 스텔라루멘
    • 127
    • -1.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900
    • -2.67%
    • 체인링크
    • 19,440
    • -1.57%
    • 샌드박스
    • 471
    • -0.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