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이 원자력 안전성 강화 연구과 원전 해체, 원자력 기술에 기반한 융ㆍ복합 분야에 대한 실질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미국 국무부와 공동으로 '제36차 한-미 원자력공동상설위원회'를 열어 이같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13일까지 계속된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열린 이번 원자력공동위에서 양국은 원자력 정책, 핵비확산 체제 검토, 국제원자력기구(IAEA)와의 협력강화 방안 등 원자력 정책의제와 원자력 연구개발, 안전, 안전조치, 방재 분야 등 4개 분야의 기술의제 등 총 66개의 의제를 협의했다.
양국은 원자력발전소 안전성 강화 분야에서 전문가 교류와 공동연구를 추진키로 했다.
또 수명이 다한 원전의 해체에 필요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로봇, 원격 제염, 부지 복원 기술 등에서도 정보를 공유키로 했으며, 사용후핵연료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한 저장용기 복합소재 기술 등 원자력 기술 융ㆍ복합 분야에서도 정보교류를 통해 협력의 기반을 다져나가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안전ㆍ해체 분야 기술 강국인 미국과의 협력 강화를 통해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원전 해체를 위한 핵심기술과 해체 부지복원ㆍ폐기물 관리 및 방사선 환경영향 평가에 대한 기반 기술이 확보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원호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이번 원자력공동위에서 양측은 실질적인 안전연구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원전해체 및 원자력 융·복합기술 등 새로운 분야로 협력 외연을 확대시켜 나갈 필요성에 공감하고 구체적인 협력을 모색했다"고 말했다.
한편 한-미 원자력공동상설위원회는 양국의 원자력 정책을 공유하고 기술협력 활동을 논의하는 범정부 차원의 협력채널로, 1977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최원호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이 한국 수석대표를 맡고 미국에선 알렉스 버카트 국무부 심의관이 대화 상대로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