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차 포화돼 가는 정부지원 태양광 발전소 사업과 관련해 국내 업체들의 해외시장 공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또한 국내 태양광 발전소 성장속도가 100Mw 이후 더뎌질 전망으로 국내산업에 기반을 두고 있는 모듈업체들의 해외 인증확보를 통한 해외 모듈 판매가 필수조건이 될 것이란 관측이다.
동부증권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누적 태양광 발전용량은 62.56Mw로 정부가 kWh당 677.38원으로 구매를 약속한 100Mw 한계에 빠른 속도로 접근하고 있다.
100Mw가지는 정부가 생산되는 전력을 모두 구매하고 있으나 100Mw 이후에는 기준가격이 하락하므로 태양광 발전을 추진하는 업체들은 초기 100Mw에 들어가기 위해 사업을 서둘러 진행하고 있다. 이에 올해 상반기중에 100Mw가 달성될 전망이다.
또한 26일 일산 킨텍스에 정부기관 및 시민단체, 개인사업자 등이 참여한 '발전차액지원제도 개선관련 중간 공청회' 결과 정부가 19~30% 수준의 기준가격 삭감안을 제시해, 시민단체와 환경연합의 강력한 반발을 사고 있다.
동부증권 김유진 연구원은 "정부의 이러한 제시안은 한정된 신재생 에너지 관련 예산이 태양광으로만 편중되는 현상을 우려하는 것으로 보이며, 관련 업계로서는 15% 수준 이상의 기준가격 삭감을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태양광산업 추진초기에 정부는 2009년부터 kWh당 650.28원으로 인하해 매년 4%씩 기준가격을 낮추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정부 예산 및 신재생에너지 쏠림 현상 등으로 인해 100Mw까지 한계를 정하고 그 이후 가격을 다시 설정하기로 변경한 것.
김 연구원은 "이러한 정책적인 변화는 정부 보조금 및 각종 규제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태양광 산업의 현실에서 미래예측을 가장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라며 "현 상황을 고려할 때 정부는 태양광 관련 기준가격을 15% 이상 낮출 것"이라고 예측했다.
아울러 지원 기간이 20년으로 늘어나는 점을 고려해도 높은 수준의 인하로 이에 따라 국내 태양광 발전소 증가 속도는 낮춰지리란 전망이다.
그는 "사업 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업체들은 해외매출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며 '모듈업체 중 해외인증을 확보하고 있는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국내에서는 현대중공업, 심포니에너지, 경동솔라, 에스에너지 등이 해외인증을 보유하고 있다"며 "특히 현대중공업의 경우 해외 시장(스페인)으로 수출해 오고 있으며, 에스에너지의 경우 국내 대기업의 해외 영업망을 활용해 해외 시장 공략을 추진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덧붙였다.